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K-IFRS 제1115호 도입과 기업의 내재자본비용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는 2018년부터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도입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이 적용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도입 전후 기간인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상 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K-IFRS 제1115호 도입 이후 기업의 내재자본비용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자본비용의 증가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더 많은 표본에서 그 증가 정도가 더 크다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K-IFRS 제1115호의 도입이 의무 적용 기업의 재무보고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업의 사전적인 자기자본비용이 상승하였다는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한다.
유통업체와 PB브랜드 간 신뢰 전이 메커니즘: 상호 강화 효과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급격한 유통 환경 변화는 PB브랜드와 유통업체 간의 관계, 특히 소비자 신뢰 형성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기존의 연구들은 유통업체에 대한 신뢰가 PB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일방향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최근 PB브랜드의 급속한 성장과 품질 향상은 이러한 신뢰 관계가 양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PB브랜드가 단순한 가격 대안이 아닌 독립적인 브랜드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신뢰와 PB브랜드 신뢰 간의 상호 전이 메커니즘과 상호 신뢰 구축이 소비자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한 소비자 응답 분석 결과 유통업체 신뢰와 PB브랜드 신뢰 간 양방향으로 긍정적인 상호 전이 관계가 확인되었다. 또한 PB브랜드 신뢰는 유통업체 신뢰와 PB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신뢰 전이 이론을 확장하고, 유통업체와 PB브랜드 간의 통합적 신뢰 및 충성도 관리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조직 성과에 미치는 사고의 영향과 위기의 조절효과: 미국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이 연구는 조직 이론의 시각에서 사고와 위기가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사고와 위기의 상호작용에 대해 탐색한다. 선행연구들이 사고와 위기의 원인 탐색, 예방 전략, 대응 전략 등 사전(pre)-사후(post) 관리에 주목했던 반면, 다양한 경계조건에 따른 사고와 위기의 차별적 영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위기가 조직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할 것이며, 사고가 조직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위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감소할 것이라 제안하고 실증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인명 피해와 같은 심각한 사고와 테러와 같은 산업 위기가 발생했을 때 조직 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사고의 영향이 위기 상황의 발생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조절되는 모습을 밝힌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978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 항공 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인명 사고와 같은 중대한 항공 사고와 9?11 테러와 같은 산업 위기가 항공사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업 위기의 부정적 효과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산업 위기는 항공사 사고의 부정적 효과를 약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사고와 위기가 조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짐을 제시하고, 조직 내부에서 발생한 사고와 조직 외부에서 주어진 위기의 상호작용을 확인함으로써 조직 이론 분야에서의 사고와 위기 연구를 확장시킨다.
단면에서 양면으로: 벤처 캐피탈 법률 회사의 중개에 있어서 경험과 네트워크의 역할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Most theories of market intermediation focus on how established intermediaries with representation experience facilitate market transactions to create value.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how young intermediaries gain such experience and carve out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o represent exchange parties. Using longitudinal data on 323 U.S.-based venture capital law firms that begin representing startups to secure financ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termediaries leverage their initial experiences to develop dual-sided capabilities. We provide and find support for the argument that intermediaries can transition smoothly by developing transferable value on the sell-side (representing startups) and expanding their networks on the buy-side (representing venture capital firms). By drawing an analytical distinction between buy-side representation and sell-side representation in intermediation, this research presents two-sided intermediation as an evolving developmental process, emphasizing the critical role of experience and learning as catalysts for this evolution.
스타트업에서 일하기: 스타트업에서의 통제 메커니즘으로서 시간 개념 고찰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개념에서 파생되어 제기되는 여러 가지 의문들을 통제 메커니즘의 측면에서 재구성하고자 한다. 대기업이든 스타트업이든 모두 시간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관리기법을 고안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지만, 시간을 어떤 통제 메커니즘을 통해서 배태시키고 있는지에서 두 기업의 형태가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에 종사하고 있는 23명의 구성원들의 심층 면접조사를 통하여 스타트업에서 시간이 기업의 통제 메커니즘에 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 구체화하고자 한다. 특히, 통제 메커니즘이 공식적인 통제 기법과 비공식적인 통제 기법으로 구현된다고 보고, 이 두 가지 통제기법들이 실질적으로 스타트업의 목적에 맞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극작술적 접근법에 기반하여 스타트업 구성원들이 자신의 직장(스타트업)과 이를 둘러싼 통제 메커니즘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응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스타트업에서는 공식적 통제와 비공식적 통제를 뛰어넘는 또다른 형태의 영향력이 존재하는데, 이는 조직에 배태되어 있는 시간이 아닌 구성원 자신의 커리어에 배태되어 있는 시간에 있음을 강조한다. 다시 말해서 스타트업에서의 통제 메커니즘은 전통적인 양식이 아닌 개인의 성장 욕구에 기인한 것으로, 스타트업 종사자는 조직의 성장과 개인 커리어 성공을 연동시키고, 내재적 동기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적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구성원들은 자기주도적인 업무를 가치있게 보고 그것이 긍정적인 통제 메커니즘으로 강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타트업의 근무 시간은 구성원들의 성장의 욕구를 통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재구성된다.
협동조합 네트워크의 전략화: 비판적담론분석과 프랙티스전략관점을 통한 아이쿱생협 사례연구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기업조직을 둘러싼 환경이 복잡해지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기업의 책무성이 필수적이 되면서, 경영전략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프랙티스전략(Strategy as Practice, SAP)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포함하는 협동조합 네트워크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 토론한다. 이 관점에서 경영전략은 조직이 소유하는 어떤 사물과 같은 것이 아니라 실행하는 것이며, 전략화(strategizing)의 개념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비판적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관점에 기반하여 다양한 기업을 포함한 협동조합 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조합원들이 소유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협동조합 기업에서는 사업 다각화의 경제적 효과성보다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를 설득할 수 있는 담론 자원을 중심으로 경영전략이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축된 경영전략은 네트워크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했다. 본 논문에서는 경영전략의 담론 특성에 주목하여 전략 행위자를 확장하고, 가치에 기반한 조직의 조정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기업 고용브랜드 가치가 신입 및 경력직 입사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동일시 매개효과와 근무지유연성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이 연구는 신입 및 경력직의 입사의도에 미치는 고용브랜드 가치를 분석하고, 개인의 선호 가치와 기업 가치의 일치가 입사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근무지유연성이 구직자의 입사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 4학년 재학생과 취업 준비생을 잠재 신입으로, 공정위 발표 82개 대기업의 경력 5년 이하 직장인을 잠재 경력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고용브랜드는 입사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신입은 사회적 가치, 경력직은 개인적 가치가 입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업 고용브랜드가 구직자의 선호가치와 일치 시 브랜드 정체성이 높아져 입사의도가 강화되었고, 근무지유연성도 입사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신입은 대학 소재지와 희망 산업별 평판 가치를, 경력직은 결혼 여부와 선호 직무별 경력개발 가치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시 채용 증가에 따라 기업이 채용 대상별로 차별화된 고용브랜드와 전략적 접근 방식을 마련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경영자의 근속연수와 수익비용대응 수준 간의 관련성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는 경영자의 근속연수가 수익비용대응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근속연수와 회계정보의 산출 간의 상반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자의 근속연수는 수익비용대응 수준과 관련성이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두(two) 가지 가설검증 모형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가지 가설검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영자의 근속연수는 수익비용대응 수준과 모든 모형에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상관을 해결하기 위하여 Prais-Winsten 추정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여도 일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영자의 근속연수가 길어질수록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근속 연수가 긴 경영자의 경우 재무보고의 질을 제고하여 고품질의 회계정보를 산출하고자 하는 유인이 높음을 시사한다. 국내의 회계학 연구에서는 경영자의 근속연수가 회계정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경영자의 근속연수가 회계정보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실증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여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는 경영자의 근속연수와 관련하여 상반된 연구결과 중 국내의 경영자는 임기가 길어질수록 재무보고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유인이 강한다는 실무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회계법인의 품질관리 중요성 인식과 핵심감사사항 가독성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본 연구는 2018년 감사보고서 체계 개편이후 정보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이 해당 정보를 적절하게 활용하지 않는 원인을 가독성 측면에서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감사보고서에서 핵심감사사항(KAM)의 가독성이 대형회계법인(Big4)에 대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회계법인의 품질관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한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감사시장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Big4의 KAM 가독성은 non-Big4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관리 인건비 비중으로 측정한 품질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클수록 가독성이 높고, Big4의 낮은 가독성도 회계법인이 품질관리를 중요하게 고려할수록 완화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새로운 감사보고서 정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회계법인의 품질관리 강화가 가독성 향상에 도움이 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감사보고서 정보의 가치관련성 향상을 위해 회계법인은 KAM 가독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감독당국은 다양한 측면에서 회계법인의 품질관리에 대한 모니터링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ChatGPT 같은 멘토, 우리 같은 멘티: AI 멘토쉽의 특성과 영향 | 2025.01.22
기타 | 경영학연구 (한국경영학회)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캐릭터 시뮬라크라를 통한 AI 기반 멘토링 또는 e-코칭을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조직은 멘토쉽 프로그램 도입을 통하여 필요 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고 구성원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며,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실질적 조언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멘토쉽 도입을 위해서는 자격을 갖춘 멘토의 확보, 멘토링에 수반되는 시간 제약과 같은 실행상의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멘토쉽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ChatGPT와 같은 대형 언어 모델 AI를 활용한 대안적 멘토링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AI 기반 멘토링 시스템의 중요 속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속성들이 AI 멘토 효능감을 통해 멘티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멘티 만족도에 미치는 의인화의 조절 효과의 확인을 통하여 멘토쉽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적 논의와 실증적 연구를 통해 AI 기반 멘토의 핵심 특성을 식별하고 향후 사용자 연구에 대한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