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 조건 >
발행처 :
등록기준 :
정렬 :
-
-
2024 HSAD YCC 공모전 대상 수상자 인터뷰 | 막힘없이 모두를 구할 하임리히어로 캠페인
-
2025.01.17 03:10
| HS Ad
-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 재학 중인 김민영입니다! 사실 열정의 온도가 남다른 저희 팀은 캠페인 기획, 운영, 영상 제작까지 팀원 모두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는데요!ㅎㅎ 그래도 주력으로 맡은 역할을 꼽자면, 전반적인 디자인을 담당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중앙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 재학 중인 김자영입니다! 저는 캠페인 영
-
-
피차 소년병인데 잘해봅시다
-
2025.01.17 09:12
| HS Ad
-
건물이 흰색이다. 우리 회사 말이다. 가끔 거대한 백색가전처럼 보인다. 자주 거대한 스타일러처럼 보인다. "멘탈이 탈탈 털려서?" "머리에 스팀 차서?" 꽤나 날카로운 통찰력이시다. 다만 꼭 그런 나쁜 뜻만은 아니다. 헌 옷처럼 들어갔다 새 옷처럼 나온다. 8년을 그렇게 다녔다. 덕분에 오래오래 뽀송하게 다닐 수 있었다. (특허받은 100도씨 트루스팀으로다가)
처음이다. 이렇게
-
-
대홍기획 1월 새 소식
-
2025.01.16 10:01
| 대홍기획
-
여성가족부 가족친화 우수기업 ‘대통령 표창’
대홍기획이 여성가족부 2024년 가족친화 우수기업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여성가족부가 주관하는 가족친화인증은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해 가족친화 경영을 모범적으로 실천하는 기업과 단체에 인증하는 제도다. 대홍기획은 지난 2016년 최초로 인증을 받은 이후 12년간 4회 연속 재인증을 획득했으며 2021년 장관 표창에 이어 올해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
-
희망을 찾아서_ 2025 신년행사
-
2025.01.16 09:58
| 대홍기획
-
2025 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어려운 시기이지만, 지난 한 해 동안의 성과를 돌아보고 새로운 한 해에 대한 희망을 공유하기 위해 DCG 신년행사가 개최됐습니다.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먼저 2024년을 돌아보는 크고 작은 사연을 소개하는 ‘대소사 영상’으로 시작을 알렸습니다. 1박 2일 동안 속초에서 진행된 2024 신년행사부터 마케팅 AI 시스템 &l
-
-
새해, 마케터가 갖고 싶은 것들
-
2025.01.16 09:51
| 대홍기획
-
-
-
[Digital In.sight] SNS 편_ 나다움이 가장 잘 팔리는 시대의 콘텐츠는?
-
2025.01.16 09:48
| 대홍기획
-
글 디지털솔루션3팀 장한솔 CⓔM
* [Digital In.sight]에서는 매달 디지털 전반의 이슈와 트렌드를 전합니다. AI와 SNS 소식을 격월로 전해드릴 예정이며 이번 달에는 SNS 소식을 소개합니다.
우리는 나다움이 가장 잘 팔리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상품, 브랜드, 직업 등을 선택할 때뿐만 아니라 삶의 방식을 고를 때에도 자신의 성향과 선호를 반영하며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
-
-
롯데그룹_ 롯데의 변화엔 한계가 없다
-
2025.01.16 09:38
| 대홍기획
-
새로운 롯데그룹의 광고캠페인이 2025년 을사년 새해를 앞둔 2024년 12월 21일에 온에어 됐습니다. ‘오늘을 새롭게, 내일을 이롭게’라는 슬로건 공표(2021년) 이후 계속 이어지는 미래를 향한 변화와 혁신의 행보 속에서 이번 캠페인은 단순한 광고 그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차원의 혁신과 미래 지향적인 변화의 이야기를 담은 롯데그룹의 신규 캠페인을 소개합니다.
-
-
Z세대의 대체 소비 트렌드, 듀프 컬처
-
2025.01.16 09:32
| 대홍기획
-
-
-
경제가 된 팬덤
-
2025.01.16 09:31
| 대홍기획
-
-
-
테클라_ 고요하고 아름다운
-
2025.01.16 09:21
| 대홍기획
-
글 박한나 / 에피파니 프로젝트 대표. 19년 차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로 삼성전자 글로벌 마케팅팀, 비마이프렌즈 CMO 등으로 활약했다.
거리를 가득 채운 집회에서 촛불 대신 등장한 건 형형색색의 응원봉이었다. 각기 다른 팬덤을 상징하는 응원봉들이 모여 하나의 목소리를 냈다. 이들은 서로의 ‘최애’가 다르지만 공동의 신념 아래 하나가 됐다. 응원봉은 이제 단순한 팬심의 표현을 넘어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