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중국전원페미니즘’에 관한 지식-권력 : 중국 학술논문과 언론평론에 대한 고고학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 2025.07.08
| 커뮤니케이션 이론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중국전원페미니즘’이라는 안티페미니즘 언표가 어떠한 방식으로 중국의 지식 담론으로 구성되며 지식-권력 효과를 수반하는지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중국 학술논문과 언론평론을 푸코의 고고학적 담론분석방법을 활용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두 개의 지식 담론의 구성 양태를 분석해냈고, 각각 ‘지배적 지식 담론의 구성’과 ‘대항적 지식 담론의 구성’으로 명명했다. 지배적 지식 담론은 낙인화의 목적을 가진 ‘전원페미니즘’이라는 언표를 중립적 지시어처럼 사용하면서, 온라인의 다양한 급진적 페미니즘을 ‘과격하고 이기적인 페미니즘’으로 규정하고 단일화된 문제 대상으로 실체화하고 있었다. 이는 순환 반복되는 발화를 통해 ‘전원페미니즘’ 언표를 주류화하고, 다양한 속성의 분류격자를 통해 도덕적으로 문제 많은 대상으로 구성하여 현실의 급진적 페미니즘의 정당성을 부인하며 이들을 배제하는 권력효과를 드러냈다. 한편, 대항적 지식 담론은 ‘전원페미니즘’ 용어와 현실 행위자 간의 거리를 확보하고, ‘전원여권’의 용어를 허구로서 파악하며 가짜와 진짜의 구분을 넘어 페미니즘을 다종화하고 쟁점 중심으로 구성하는 규칙성을 보였다. 즉, 대항적 지식 담론은 지배적 지식 담론과는 다른 방식으로 개념적 내용과 이론적 활용을 구성함으로써 급진적 페미니즘을 중국 페미니즘의 새로운 단계와 곤경으로 구성해내고 있었다.
노년층의 미디어 이용과 정보 신뢰 형성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 2025.07.08
| 커뮤니케이션 이론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노년층의 미디어 이용 행태와 정보 신뢰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디지털 환경과 사회적 관계망이 해당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기반으로 60~70대 노년층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을 통해 미디어 이용 방식과 정보 신뢰 형성의 핵심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년층은 전통 미디어(TV, 신문)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유지하면서도 점차 디지털 미디어(유튜브, SNS, 포털 뉴스 등)를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 신뢰 형성은 반복 노출 효과, 알고리즘 추천 시스템, 사회적 관계망의 정보 제공 여부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가족이나 친한 지인이 제공한 정보는 별도의 검증 과정 없이 신뢰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은 노년층의 정보 확산과 신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정 커뮤니티(카카오톡 단체방, 종교 모임 등)에서 공유되는 정보가 정보 신뢰도를 결정짓는 데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노년층은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기술적, 인지적, 환경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노년층의 정보 신뢰 형성이 단순한 기술 적응의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 환경과 사회적 관계망이 상호작용하며 형성되는 복합적 과정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장소 기반 하이퍼로컬 플랫폼은 이용자의 지역 관여를 강화시키는가 아니면 약화시키는가? :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의 적용 | 2025.07.08
| 한국언론학보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 하부구조 이론(Kim & Ball-Rokeach, 2006a, 2006b)을 틀로 하이퍼 로컬 플랫폼인 당근이 지역 커뮤니티 관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더불어 둘 사이의 관계를 지역 스토리텔링 네트워크와의 통합적 연결성(ICSN)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당근 이용은 이용 여부, 이용 정도로 구분해 분석했고, 지역 커뮤니티 관여는 네 가지 하위변인(이웃 소속감, 비공식적 사회 통제, 사회적 결속, 지역 커뮤니티 활동 참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2023년 3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0세~69세 남녀 총 500명의 설문조사 응답을 사용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근 이용(여부/정도)은 개인의 ICSN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 이용이 지역 커뮤니티 관여에 미치는 영향은 당근 이용 여부와 지역 커뮤니티 활동 참여 사이에만 유효했다. 즉, 당근을 이용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지역 커뮤니티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SN의 조절효과는 당근 이용 여부와 이웃 소속감, 그리고 당근 이용 정도와 비공식적 사회통제 간에만 나타났다. ICSN 수준이 낮은 경우 당근을 이용할 때 이웃 소속감이 높아졌지만, ICSN 수준이 높은 경우엔 오히려 당근을 이용할 때 이웃 소속감이 소폭 줄어들었다. 개인의 ICSN 수준이 낮은 경우 당근을 더 많이 이용할수록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높아져 지역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을 위해 동네 구성원들이 더 많이 참여할 것이라고 인지하지만, ICSN 수준이 높은 경우 당근 이용 정도가 오히려 비공식적 사회통제를 소폭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지역 기반 하이퍼로컬 플랫폼 이용과 지역 커뮤니티 관여 사이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현대의 미디어 환경에서 플랫폼이 지역 커뮤니티 관여의 정도와 사회적 자본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뉴스 동질화 현상의 이론적 분석 틀 : 기점 기사 개념과 영향력·생산성 지표의 제안 | 2025.07.08
| 한국언론학보 (한국언론학회)
본 연구는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뉴스 동질화(news homogenization) 현상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과 지표를 제안하였다. 뉴스 동질화는 여러 언론사의 뉴스가 비슷해지는 현상으로, 본 연구는 이를 뉴스 의제의 동질화(homogenization of news agendas)와 뉴스 내용의 동질화(homogenization of news contents)라는 두 차원으로 정의하였다. 국내 주요 언론사 10곳의 경제 뉴스 3,291건을 수집하고 Doc2Vec 기반 코사인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여 개념과 지표를 개발하였다. 먼저 기존의 ‘선행 기사(preceding article)’와 ‘후행 기사(following article)’ 개념을 확장한 ‘기점 기사(original article)’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였다. 기점 기사는 특정 의제와 정보의 출발점이 되는 기사로, 뉴스 의제의 확산 경로를 단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어떤 기사가 동질화의 출발점이 되어 다른 기사들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뉴스 동질화 과정에서 각 언론사가 주고받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영향력(influence)’과 ‘생산성(productivity)’ 지표를 개발하였다. 영향력은 특정 언론사의 기사가 얼마나 많은 기사에 영향을 주었는지, 생산성은 특정 언론사가 영향력 있는 기사를 얼마나 많이 생산했는지를 평가하는 개념이다. 이를 활용해 언론사들의 의제·정보 영향 관계와 생산 능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뉴스 동질화 현상을 구조적·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함으로써,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 매체 간 상호작용과 의제 전파 양상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아울러 뉴스통신사가 뉴스 동질화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탐색적 관찰 결과를 제시한다.
기후변화를 향한 한국 청년들의 목소리 : 기후변화로 인한 감정과 대화 시도를 중심으로 | 2024.12.09
기타 | 한국언론학보 (한국언론학회)
기후변화 문제 속 한국의 청년들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당사자인 한국 청년들이 기후변화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 살펴본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기후변화를 향한 한국 청년들의 감정과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기후변화와 한국 청년 간의 관계를 다뤄왔던 기존 논의를 확장해보고자 했 다. 이를 위해, 정량적 자료 수집 방법인 설문조사와 정성적 자료 수집 방법인 초점 집단 토론을 함께 적 용하는 혼합방법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전국 17개 시·도 거주 만 19세~만 34세에 해당하 는 청년 500명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관한 감정과 인식을 질문하였다. 개방형 문항 답변 분석 결과, ‘심 각’, ‘걱정’, ‘체감’, ‘불안’, ‘두려움’ 등이 주요 단어로 등장하였고, 폐쇄형 문항 답변에서도 ‘불안’이나 ‘두려 움’에 동의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반면, 기후변화로 인한 감정 가운데 비동의 비율이 가장 높 은 감정은 ‘낙관(긍정)’이었다. 또한, 기후변화에 관한 대화 시도 경험을 질문하였을 때 ‘기후변화에 대하 여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지 않는다’에 동의하는 비율 역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점 집단 토론에 서는 세 가지 결과의 맥락을 살펴보았는데, 참여자들은 기후변화 이야기가 ‘심각’과 ‘체감’에 머물러있고 낙관 가능성을 찾기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기후변화를 주제로 하는 대화에 관한 오해가 발견되기도 했 다. 주요 결과를 토대로, 공포, 위협, 압박 등을 벗어난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Habermas, J. (2023). A New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d Deliberative Politics (C. Cronin. Trans) | 2024.10.08
기타 |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언론학회)
Issues and Challeng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ducation in Communication | 2024.10.08
기타 |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언론학회)
The current research undertook in-depth interviews with 13 undergraduates majoring in communication to explore how they understoo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how they perceive the value of the methods after tak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urse. Thematic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students identified in-depth interviews as valuable tools that provided honest answers from the people of interest. Students came to understand the strengths and uniqueness of each data-gathering method with their perception changed after taking the course. However, they still fou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be difficult and challeng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contextual factors negatively influenced the students’ evaluation of qualitative methods; nonetheless, participants still wanted to learn qualitative methods well to boost their skills for the job market. Interviews also revealed that the knowledge and skills i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fluenced students’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the method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suggests ways in which instructors could strengthen qualitative methods courses to gain more leverage in undergraduate programs. Topics for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and their implications are discussed.
Understanding the Internet Water Army: Domain, Characteristics, Purposes, Messages and Affordances, and Consequences | 2024.10.08
기타 |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언론학회)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bring many benefits to individuals, groups, organizations, and society. However, some users, groups, agents, businesses, institutions, and governments also manipulate and deceive the online environment, fostering negative consequences. This article describes one specific manifestation of this phenomenon: the Internet Water Army, a growing Internet/social media phenomenon, especially in China. There has been no robust framework for referring to the Internet Water Army, nor an integrated social science review of this type of Internet/social media user, thus creating gaps and contradictions in discussions and research about it. First, the article defines, with examples, first the general domain of organized multiple online postings or contributions, second thecontributions, the more specific domain of paid posters or influencers promoting misinformation, and third the particular case of the Internet Water Army. Then, the explanation identifies four central dimensions of the Internet Water Army?characteristics (user demographics and activities, organization and process), purposes (at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levels), messages (content and valence) and an affordance (visibility), and consequences (desirable/(desirable/undesirable, direct/indirect, and anticipated/unanticipated)?with a wide variety of examples. The article ends with a discussion of several theoretical perspectives that could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phenomena such as the Internet Water Army.
Can Chinese Pastoral Videos be Effective for Promoting Foreign Viewers’ Travel and Word-of-Mouth Intention?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fluencer, Attributes of Cont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asocial Interaction | 2024.10.08
기타 |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언론학회)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attributes of Chinese Pastoral Videos (CPVs) cont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PVs influencer affect viewers through parasocial interaction (PSI) on intention to visit China and intention of Word of Mouth (WoM) about CPVs. Results from an online survey with a US sample (NN = 405) revealed that physical attractiveness and familiarity of CPVs influencer, along with informativeness of CPVs cont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ravel intention. Only trustworthiness of CPVs influence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M intention. Second, physical attractiveness, trustworthiness, and familiarity of CPVs influencer, along with technicality of CPVs cont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havioral PSI. Informativeness, technicality, and entertainment of CPVs content, along with physical attractiveness and familiarity of CPVs influencer,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gnitive PSI. Third, cognitive and behavioral PSI were positively related to travel intention and WoM intention. Finally, cognitive PSI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istics of CPVs influencer, attributes of CPVs content, travel intention and WoM intention. Meanwhile, behavioral PSI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istics of CPVs influencer, technicality of CPVs content, travel intention and WoM inten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effectiveness of Chinese pastoral videos in promoting cultural export, including cultural diffusion and visits to China.
Over-the-Counter Medicine Advertising and Behavioral Responses in the South Korean Context: Roles of Health Consciousness, Attention, Attitude, and Subjective Health Knowledge | 2024.10.08
기타 |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언론학회)
In South Korea, the market for over-the-counter drug advertising (OTCA)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research on OTCA has received scant attention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dentifying the antecedents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behavioral responses to OTCA helps us understand how consumers engage in health-related decisions. This study focused on a notable theoretical framework that determines behavioral responses to OTC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sciousness, attention to OTCA, attitude toward OTCA, and behavioral responses to OTCA. It also tested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OTCA on behavioral responses by examining the moderating role of subjective health knowledge. A nationwid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signifificant dual mediating effffects of attitude and attention on behavioral responses. However, subjective health knowledge did not signifificantly moderate the sequenti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OTCA and behavioral responses. These fi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strategy, policy, and practice in both public health fifields and the advertising industry. Advertising practitioner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can gain valuable insights into how to enhance consumers’ health-related decision-making for sustainable health promotion.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