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 1999.02.01
광고이론 | (한국외국어대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이 광고에 노출된 이후 어떠한 심리학적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인 구매행위에 도달하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첫째, 개인의 상품에 대한 관여도와 친숙도(전문지식) 수준이 변화함에 따라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서 브랜드 신념으로부터 브랜드 태도로 연결되는 인지적 경로의 역할과 광고 태도로부터 브랜드 태도로 연결되는 감정적 경로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 사이에 설정된 인과관계는 개인의 상품 관여도와 상품 친숙도의 변화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개인이 친숙한 브랜드에 노출되었을 경우 친속한 브랜드 조건의 광고반응 변인들 이외에 개인의 기억으로부터 도출되는 사린 브랜드 태포가 장고 정보처리 과정에 추가됨으로써 광고 정보처리 과정의 구조적 관계에는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정치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 1998.08.01
광고크리에이티브 | (한국외국어대학교)
본 연구는 정치광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치적 특성, 문화적 특성.시장 제도적 특성 등 세 갈래의 특성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 보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이들 특성들을 한국, 미국, 일본 세 나라에서 사용된 정치광고의 소구요인(소구내용, 소구방향, 소구유형)의 차이를 설명하는 개념적 해석틀로 사용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비교문화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광고를 비교분석한 선행연구가 필요성의 차원에서 제안하거나 실제 분석에 사용한 변인들을 추출하여 국가간 정치광고의 소구내용과 소구방향 그리고 소구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정치적 특성, 문화적 특성, 시장 제도적 특성으로 재구성하여 개념적 해석틀을 제시하였다. 이에 정치적 특성의 세부요인으로는 정당체제와 선거제도를. 문화적 특성의 세부요인으로는 권력 거리, 개인주의 집단주의, 남성주의 ·여성주의. 불확실성의 회피를,그리고 시장 · 제도적 특성의 세부요인으로는 언론의 소유형태, 법적 규제. 1인당 광고비를 선택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일본 세 나라의 신문 정치광고가 소구내용과 소구방향 그리고 소구유형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MBC 생성의 역사적 과정에 관한 일고찰 | 2007.02.01
광고매체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역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민영상업방송으로 출발, 현재 `광고를 재원으로 하는 공영방송`이라는 독특한 존재 양식을 갖게 된 MBC 생성의 역사적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MBC의 방송 역사는 다른 방송사(社)에 비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에 얽힌 변혁의 역사를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경험하며, 혁명과 개발독재 3선 개헌과 유신 헌법 · 신군부의 집권과 민주화운동 · 문민정부와 국민의 정부 등을 거쳐 성장해왔다. 이에 따라 MBC의 소유구조는 정권의 부침과 함께 김상용 , 김지태 , 5 · 16장 학회 ,KB5 , 방송문화진흥회 등으로 바뀌면서 운영은 민영방송과 같은 광고료로, 소유는 공익단체적 성격을 지닌 희귀한 예로 남게 되었다. 세계 언론사에 유례가 없는 MBC의 이같은 독특한 위상은 방송제도 관련 논의가 있을 때마다 격론의 대상이 되어오고 있다. 향후 방송통신융합시대에 부합하는 MBC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MBC의 역사적 성장 과정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MBC 현재의 모습 자체가 바로 역사성을 반영하는 것이고, MBC 위상과 관련된 문제는 MBC의 현 소유구조를 당시 정치 · 경제 · 사회적 상황을 기반으로 한 역사적 맥락에서 파악하지 않고 법리적 해석에만 의존할 경우 그 정체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CRM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2006.12.01
광고와 마케팅 | (한국외국어대학교)
본 연구의 의의는 CRM성공요인이 CRM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의 틀을 벗어나 "CRM의 전략적 관점에서 고객관리 프로세스에 준거하여 독립변수인 CRM 성공요인, 매개변수인 고객자산가치관리역량, 그리고 종속변수인 CRM 성과"로서의 연구모형을 이론적으로 재정립하였고, 나아가서 이러한 이론을 기업단위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봄으로써 기업들로 하여금 고객자산가치관리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각인시킨데 있다.
브랜드 이미지 연상의 구조적 특성과 효과 연구 : 연상 네트워크 기억 모형을 중심으로 | 2007.02.01
기타 | (한국외국어대학교)
본 연구는 인간의 지식구조에 관한 이론인 연상 네트워크 모형에 기반하여 브랜드 이미지 연상의 특성을 관찰하고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랜드 자산의 지표로서 연상의 특성이 판별성 있는 요인인가를 검증하고, 브랜드 연상의 특성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정보처리의 관점에서, 전반적인 브랜드 평가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첫 번째, 자산이 높고 낮은 브랜드간에 연상의 특성들이 가지는 차이를 검증하고, 두 번째, 연상의 특성이 인출 효과에 미치는 영향 및 세 번째, 브랜드에 대한 전반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상 네트워크 모형에 기반한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최근 10여년간 꾸준히 수행되어 브랜드 이미지의 구조적 속성이라 할 수 있는 브랜드 연상의 특성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간의 연구 성과를 종합해 볼 때, 브랜드 연상의 주요 특성은 브랜드 연상의 수, 응집력, 추상성, 강도, 호의성, 독특성 등이 열거될 수 있다. 이러한 연상의 특성들은 각 특성의 변화가 전체 연상의 네트워크 형태, 즉 전체 브랜드 이미지 구조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또한 궁극적으로는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인식 및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광고 배경음악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04.08.01
광고크리에이티브 | (한국외국어대학교)
본 연구는 광고에 사용된 배경음악의 장르와 음악적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브랜드 이미지의 차이를 규명해 배경음악의 활용 방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 관여도별 광고 배경음악의 장르와 음악적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종속변인으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광고 배경음악에 따라 나타나는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의 주실험에 대한 피험자는 152명의 대학생으로 설정했으며 미리 제작된 실험 광고물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공중 집단간 갈등해소에 대한 중재PR전략에 관한 연구 | 2003.08.01
PR, SP, Event | (한국외국어대학교)
21세기 정보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사회가 복잡해지고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인 매체가 다양화함에 따라 이해 관계 집단 간 대립양상구도 달라지고 있다. 한 조직이 상대하고 있는 다양한 공중들(publics) 또는 조직과 관련된 이해당사자들(stakeholders)과의 관계(relation)를 얼마나 잘 관리하고 유지하는 하는 것이 조직의 영속적 유지 발전의 관건이나 다름없다고 하겠다,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중 집단들은 많은 갈등의 소지를 안고 있는데, 농수산물 유통시장의 경우는 그 단적인 예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수산물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중 집단 간 갈등해소를 위한 효율적인 중재PR전략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유통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공중 집단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또한 이들 공중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생산지 출하지의 작목반장과 생산자, 유통과정에서 각 취급 품목별 연합(조합)대표 31명에게 그룹포커스 심층인터뷰 및 토론(FGI/FGD)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을 중심으로 유통현장에서 발생 되었던 갈등사례 735건을 1차적으로 분석한 다음, 생산자집단과 구매자집단 간 쟁점화 되었던 이슈 68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디지털 거리(Digital Distance)가 인터넷 광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03.02.01
광고매체 | (한국외국어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국가간 광고의 표준화-현지화 전략에 대한 논의들을 온라인 상으로 확장하여 인터넷 광고의 표준화-현지화 전략에 대한 논의의 접목 가능성을 탐색해보고, 그 가능성을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정보문화` 와 `온라인 마케팅 환경적 특성` 이라는 새로운 설명변인을 도입하여 국가간 인터넷 광고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국가간 정보문화와 온라인 마케팅 환경이 인터넷 광고의 정보내용과 표현전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여 국제광고의 쟁점이 되어온 메시지의 표준화와 차별화 시비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정보문화의 세부요인으로는 도구문화와 규범문화를 그리고 온라인 마케팅 환경적 특성은 인터넷 이용자 수, 인터넷 쇼핑환경, 인터넷 광고산업을 선택하였으며 이들 정보문화와 온라인 마케팅 환경적 특성이 국가간 디지털 거리(digital distance)를 형성하게 된다.
뉴스조직 통합이 뉴스의 양식, 취재행위 및 경영에 미치는 영향 : CBS방송의 통합 뉴스 룸 사례연구 | 2007.02.01
광고와 마케팅 | (한국외국어대학교)
전 세계적으로 미디어업계는 혁명적인 변화에 직면해 있다. 신문 방송 등 기존의 올드 미디어는 점차 독자와 시청자 숫자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광고수입도 줄어들고 있다. 특히 신문의 경우는 열독율의 감소가 눈에 띨 정도다. 신문독자의 급격한 감소에는 젊은 세대의 인터넷 선호와 활자 기피가 그 배경에 깔려 있다. 이제 신문 방송 등은 단일 매체를 통한 뉴스 생산과 공급을 고집할 경우 서서히 고사될 수도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어가고 있다. 국내외 신문과 방송 업계가 뉴미디어 환경에 대처하고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안이 뉴스 룸 통합이다. 뉴스 룸 통합은 기존의 종이신문과 방송 그리고 웹을 통합해 텍스트와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을 아우르는 뉴스 컨텐츠를 생산하여 어떠한 형태의 매체를 통해서도 뉴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수용자들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저널리즘이며 언론사의 성장 전략이기도 하다. 따라서 통합된 뉴스 룸에서 생산되는 뉴스 콘텐츠에 대한 분석은 꼭 필요한 연구가 아닐 수 없다.
TV 프로그램 등급제의 인식 및 효율적 운용을 위한 실증 연구 | 2007.02.01
광고와 소비자행동 | (한국외국어대학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give efficient and effective guidelines for how to improve TV program grading system, but also to observe general opinion of stakeholders related to TV broadcasting. Specifically, the first objective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harmfulness of TV programs and their harmlessness upon children. In so do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the parents, primary school teacher, broadcasting producer to see their opinion about TV program grading system. In addition to that, the children`s attitude and behavior watch the TV were also measured. The second objective is to provide effective suggestions for TV program grading system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nd Q-methodology experiment. The respondents of this survey are 76 parents of children, 104 primary school teachers, 672 primary school students (6th grade) and 72 broadcasting producers. They were given some questionnaire for the opinion and perception on TV program grading system.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