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제목 저자 출처 학회/발행처
사회신뢰와 집단효능감이 지각된 위험, 자기효능감 및 코로나19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23.03.09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에서 ‘사회신뢰’와 ‘집단효능감’과 같은 사회적 관 계 요인이 감염병에 대한 예방행동을 이끌어내는 데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 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신뢰와 집단효능감이 기존 이론에서 예방행동을 예측하는 주요 변 인으로 제시되었던 지각된 위험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코로나19 예방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조방정식모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신뢰는 집단효능감과 자기효능감에 유의 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지각된 위험과 코로나19 예방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효능감은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코로 나19 예방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위험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위험은 자기효능감에 그리고 지각된 위험과 자기 효능감은 각각 코로나19 예방행동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신뢰와 집단효능감은 예방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 보다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제시해주며, 이로써 사회신뢰와 집단 효능감과 같은 사회 적 관계 요인은 자기효능감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예방행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 다. 이에 대한 연구는 감염병 위험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 변인이 어떻게 예방행동을 이끌어내는 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주며, 방역당국으로 하여금 예방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어떤 전략이 필요한지 이에 대한 실무 차원의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Facing with unprecedented pandemic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role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such as social trust and group-efficacy, play to promote preventive behavior on COVID-19. It is investigated what impacts social trust and group-efficacy have on the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which are considered as the major variables in the previous health related theories, and the preventive behavior. The findings show that social trust has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s on group-efficacy and self-efficacy, but it has not significant impacts on perceived risk and preventive behavior. In addition, it indicates that group-efficacy significantl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and a negative influence on preventive behavior, but it has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risk. Furthermore, it shows that perceived risk has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and both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s on preventive behavior. Th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trust and group-efficacy have indirect influence on preventive behavior via a mediator of self-efficacy, and thus social relationship variables play roles to activate self-efficacy, which promotes preventive behavior of COVID19. This study provid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explaining and promoting the preventive behavior of pandemic.
소비자의 여성성 수준이 인스타그램 내 제품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인스타그램에 대한 여성성 지각과 자기감시의 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 2023.03.09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의 주체로 주목받으며 SNS 사용을 활발하게 보이는 MZ세대 여성을 대상으로 개인의 여성성, 인스타그램의 여성성과 자기감시 수준이 인스타그램에 게시된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20-30대 여성 12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사용된 제품은 텀블러와 사무용 의자로 성인 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제품으로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소비자의 여성성, 인스타그램 여성성의 이원상호작용이 부분적으로 유의하였고, 더불어 여성 소비자의 여성성, 인 스타그램 여성성, 자기감시의 삼원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자기감시 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개인 의 여성성 수준이 높고 인스타그램을 여성적이라고 지각할수록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개인의 여성성이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인스타그램 여성성 판단 수준과 자기 감시 수준과 같은 조절 변인이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 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확장하여 여성스러움을 보여야 하는 사회적 압박으로 여성성을 강요받는 정도가 여성스러운 SNS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성역할과 SNS 활용이 소비결 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femininity, perceived femininity on Instagram, and self-monitoring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posted on Instagram for women of MZ generation who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subject of consumption. For the study, an online study was conducted on 125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product stimuli were tumblers and office chairs, which are considered to be used a lot by young adults. As a result, the two-way interaction of female consumer femininity, perceived femininity on Instagram was partially significant and the three-way interaction of female consumer femininity, perceived femininity on Instagram, and self-monitoring was significant. For participants with a high level of self-monitoring, the higher the level of femininity and the more they perceive Instagram as feminine,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Finding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individual femininity on purchase intention can be moderated by variables such as perceived femininity on Instagram and self-monitoring. In future studies, by expan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ee whether the degree of femininity forced by social pressure affects the use of feminine SNS, the effect of gender role and SNS use on consumption decision can be investigated.
동영상 콘텐츠의 장르, 시청자의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 및 디지털 미디어의 속성이 사전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 | 2023.03.09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는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동영상 콘텐츠를 소비할 때 콘텐츠 장르와 시청자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의 사전광고 회피에 대한 효과가 PC와 모바일 미디어 속성에 따라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검토를 통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 로 가설 수립 후, 국내 대표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시청자의 실제 시청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영상 콘텐츠 장르 측면에서 볼 때, PC에서는 클립 간 연결성이 높은 장 르일수록 수동적 시청방식을 취하여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낮아 사전광고 회피도가 낮고, 이러한 현상은 몰입도가 전반적으로 높은 모바일 미디어에서 약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디지털 네이티브 특성 측면에서 볼 때, PC에서는 멀티태스킹을 선호하는 디지털 네이 티브가 디지털 이주민보다 사전광고 회피도가 더 낮고, 이러한 현상은 몰입도가 높은 모바일 미 디어에서 약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광고 회피와 관련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전광고 관련 연구에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verifies how the effects of video content genres and viewers'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on pre-roll advertising avoidance differ according to digital media when consuming video content on a video streaming platform. To this e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oretical ground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users’ viewing data from one of the leading video streaming platforms in Korea, all hypotheses proposed by the authors were supported. In terms of video content genres, the higher the connection between video clips, the lower the viewer's engagement in the video content and the lower the pre-roll advertising avoidance on PC, which is weakened on mobile media. Next, in terms of viewers'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digital natives who prefer multitasking rather than digital immigrants are less engaged in video content and thus have lower pre-roll advertising avoidance on PC, which is weakened on mobile media.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both academically and managerially.
인터넷신문 광고에 미치는 소비자 설 득지식과 인터넷신문 신뢰의 역할 : 가치, 태도, 행동 모델을 중심으로 | 2022.12.13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는 가치-태도-행동 모델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인터넷신문 광고 이용에 대해 알아 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해본 결과 인터넷신문 광고에 대한 가치 인식은 인터넷신문 광고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신문 광고태도는 광고 이용에 대한 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인터넷신문 광고를 대상으로 가치-태도-행동 모델이 검증되었다. 선행요인으로 제안한 설득지식의 경우 인터넷신 문 광고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광고가치와 행동의도에는 영향을 미치 지 못하였다. 인터넷신문에 대한 신뢰는 인터넷신문 광고에 대한 가치, 광고태도, 행동의도 모두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신문 광고에 대한 학문적인 시사점은 물론 광고 집행에 있어서 실무적인 시사점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use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with a focus on the value-attitude-behavior model.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hrough a survey,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In addition, the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advertisements, so the value-attitude-behavior model was verified for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In the case of persuasion knowledge suggested as an antecedent factor,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 attitudes, but did not affect advertisement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rust in Internet newspapers affects all values of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advertisement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se results provide not only academic implications for Internet newspaper advertisements, but also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vertisement execution.
유니콘 스타트업은 무엇이 특별한가? 조직구성원 관점에서 본 내부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2022.12.13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는 국내 유니콘 기업들이 스타트업으로 시작하여 현재 규모로 성장하기까지 그 성장 동력은 무엇인지 내부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유니콘 기업에 재직 중인 매니저급 실무자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유니콘 기업 들의 내부 커뮤니케이션은 세 가지 관점에서 차별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COVID-19이라는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해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일상화, 클 라우드 기반 커뮤니케이션 확대, 협업 툴 사용 활성화, 데이터 기반 커뮤니케이션 정착이 이루어 졌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방향성의 측면에서는 상향식 및 하향식 커뮤니케이션 모두 쌍방향 균 형 커뮤니케이션이 구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 기능 간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는 기 능 간 구분 없는 조직 구성, 이종 직군 간 협업 활성화, 애자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서로 다른 기능 간 장벽이 없는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었다. 이 같은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은 스 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내 부 커뮤니케이션 관리 및 운영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internal communication of unicorn startups in an attempt to find their key for succes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welve employees of unicorn startups. The result suggests internal communication of unicorn startups had three unique attributes different from other companies. First, the unicorn companies have adopted digital transformation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work-from-home communication, cloud-based communication, data-bas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s, which made them maintain business routines even during external environmental turbulences such as COVID-19. Second, the organizations adopted both upward and downward communications, which resulted in two-way symmetrical communication. Third, internal communication between functions was seamless and integrated as the unicorn companies facilitate active collaboration agile communication. The implications for strategic internal communication were also discussed.
가상현실 콘서트에서의 HMD 사용이 관객의 콘서트 관람 경험과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몰입감과 실재감 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22.12.13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인해 콘서트와 같은 집합적 문화 활동은 상당부분 미 디어를 통한 비대면 활동으로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보다 몰입감 높은 경험을 제공하 기 위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같은 실감형 미디어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 콘서트의 현장감을 높이기 위한 핵심 기술인 두부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에 주목하여, 비대면 가상현실 콘서트 관람에서의 HMD 사용이 콘서트 경험과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총 298명의 응답자가 참여한 온라인 설문 데 이터를 활용하여 VR 콘서트 관람시 HMD 착용자와 미착용자의 콘서트 경험을 비교하고, HMD 착용이 콘서트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몰입, 실재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과정을 검 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MD 착용은 재관람 의도에는 부(-)의 효과를, 몰입과 실재감에는 정 (+)의 효과를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HMD 착용이 몰입과 실재감을 매개하면 재관람 의 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상 콘서트에 참여하는 관객들 의 생생한 콘서트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가상 콘서트의 개최 및 운영과 관련 플랫폼을 설계하는 실무자들에게 중요한 함의를 제공한다.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massive gatherings such as music concerts have moved to online platforms. By doing so, media technologies such as VR(Virtual Reality) and Head Mounted Display(HMD) have been utilized to provide more immersive experiences to the concert audience.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s of wearing HMD on enhancing realistic concert experiences and examines the impact of the HMD use on the audience’s psychological outcomes as well as an intention to attend the musician’s future VR concert. A total of 298 respondents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We applied a serial mediation model to test the indirect effect of HMD use on the intention to attend the future concert through immersion and presence. Results showed that the HMD use yielde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attend future VR concerts. The effect turned to positive when it was mediated by the sense of immersion and presence. Findings from our study uncover the mechanism through which HMD use leads to favorable behavioral outcomes. Moreover, the current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ose who hold and operate VR concerts and platform designers.
인간 vs. 가상인간 인플루언서의 광고 설득효과 비교 : 지각된 역량,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2022.12.13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본 연구는 인간,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간 광고 설득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 인플루언서 광 고 설득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제안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실험을 통해 인간, 가 상인간 인플루언서 간 광고 설득효과가 제품유형(실용재 vs. 쾌락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플루언서 유형과 제품유형 간 상호작용효과가 광고 설득효과 에 미치는 영향이 발견되었다. 실용재의 경우, 인간,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간 광고 설득효과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쾌락재에서는 인간 인플루언서의 광고 설득효과가 가상인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인플루언서 유형과 제품유형 간 상호작용효과는 지각된 인플루언서의 역량과 경 험에 의해 매개되었다. 본 연구는 가상인간 인플루언서의 활용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 서, 인간,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간 소비자가 지각하는 역량과 경험 수준에서 차이가 나고, 이 두 변인이 인플루언서의 광고 설득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혔다는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 한, 인플루언서 유형 별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안했다는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 vs. virtual influencer on the advertising persuasion. An online experiement was conducted to test our proposed hypotheses that 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fluencer type (human vs. virtual influencer) and product type (utilitarian vs. hedonic). The results show that n the case of an utilitarian product, we found no signficant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virtual human influencers. In the hedonic product condition, however, the use of human influencer results in more positive persuasive effects (vs. virtual influencer). Furth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fluencer type and product type was mediated by the perceived influencer's agency and experience. This study ha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posed a strategy to increase th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s at a time when the use of virtual influencers is becoming important. In addition, there is a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reveal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ived competence and experience between human and virtual human influencers, and that these two variables influence the influencer's advertising persuasion effect.
공익광고 효과추정을 위한 베이지안 구조 시계열 모델의 적용 : 텔레비전 금연 캠페인의 인과효과 추정 | 2022.12.13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베이지안 구조 시계열 모델은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시계열 예측과 인과효과 추정을 동시 에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기계학습 통계분석 방법이다. 특히 전국 단위의 대중매체 캠페 인에 대한 효과 평가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베이지안 구조 시계열 모델을 텔레비전 금연 캠페인에 적용함으로써 미 디어 캠페인의 효과 평가연구에 있어 베이지안 구조 시계열 모델의 유용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2014년 6월부터 12월까지 집행된 금연 텔레비전 캠페인이 국내 담배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기 위해, 2014년 1월부터 2015년 7월까지의 담배 판매량과 담배 판매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통제변수 자료를 활용하였다. 시계열 성분과 회귀 성분으로 이루어진 베이지안 구조 시계열 모델을 통해 예측된 반사실적 반응에 근거하여 금연 캠페인의 인과적 영향을 추정 하였다. 분석 결과, 금연 캠페인이 사람들의 담배 소비에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적 효과 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찾을 수 없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효과 측정에 있어 베이지 안 구조 시계열 방법론의 유용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Bayesian structural time series (BSTS) model is a new statistical analysis method using machine learning,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time series prediction and causal impact estim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ts utilization in that it can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mass media campaigns nation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this new method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media campaigns by applying BSTS to the 2014 television campaign for smoking cessation.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anti-smoking advertising executed from June to December 2014 on tobacco consumption in South Korea, tobacco sales data from January 2014 to July 2015 and potential control series that could affect tobacco sales were used. The causal impact of the anti-smoking advertising was estimated based on the predicted counterfactual response through the BSTS consisting of time series components and regression components. Analysis of the BSTS model leads us to conclude that the empirical evidence fo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impact of the anti-smoking campaign on people’s tobacco consumption could not be found.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usefulness of the BSTS methodology in measuring advertising effects was discussed.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인식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병행과정 확장모델을 중심으로 | 2022.11.11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는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주는 반면 프라이버시 침해 등 부정적인 효 과도 무시할 수 없다. 본 연구는 병행과정 확장 모델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사용자 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지각된 위협과 효능감이 프라이버시 우려를 매개로 광고신뢰,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20대와 30대의 소셜미디어 사용자 18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위협(지각된 심각성과 취약성)은 프라이 버시 우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광고신뢰와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효능감(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은 프라이버시 우려와 광고 회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광고신뢰에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 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높을수록 광고회피는 더 높아졌으나, 광고신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심각성, 취약성, 자기효능감은 프라이버시 우 려를 매개로 광고회피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소셜미디어에서 프라이버시 우려가 중시되는 시점에서 연구자들에게 개인정보 보 안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며, 실무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 광 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프라이버시 우려를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While big data brings convenience to people, negative effects such as privacy infringement cannot be ignored. Focusing on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effect of perceived threats and efficacy against privacy infringement on advertising trust and advertising avoidance through privacy concern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89 social media users in 20s and 30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we found that the perceived threats of privacy infringement (perceived severity and vulnerability) on social media had a positive (+) effect on privacy concerns, but the perceived threats to privacy did not affect advertising trust and advertising avoidance. Second, the perceived efficacy (self-efficacy, response efficacy) was found not to affect privacy concerns and advertising avoidance, but the 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advertising trust. Third, the higher the privacy concern in social media, the higher the advertising avoid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trust. Fourth, perceived severity, vulner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advertisement avoidance through privacy conc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at a time when privacy concerns are emphasized in social media. Practically,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that privacy concerns should be considered as a factor influencing advertising effects in social media.
브랜드와 커뮤니티 회원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가치, 소비자의 역할변화 및 브랜드 주인의식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2022.11.11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첨단기술의 등장으로 참여와 협력의 시대가 등장하면서 브랜드와 소비자간 관계에서 역할 변화가 미래의 고객관계관리의 핵심 변수로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자 역 할변화의 중요성을 인식해 이와 관련된 구조적인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 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역할변화의 특징으로 운영의 주도권, 공동창조 및 문화창조를 확인하고 회원들이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서 경험하는 심리적 가치(성취감, 소속감, 시민의식)을 원인변수로 브랜드에 대한 소유의식을 결과변수로 설정했다. 본 연구는 조사전문기관에 있는 실제 패널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본 연구는 257명 의 응답자들로부터 연구모형에 있는 주요 변수별 인식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는데, 조사 참여자 들이 가입해 활동하고 있는 브랜드 커뮤니티는 모두 126개였다. 본 연구는 구조 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연구모형을 검증했다. 설문조사 결과 성취감과 시민의식은 운영의 주도성, 공동창조 및 문화 창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소속감은 소비자의 역할변화에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운영 주도성과 문화 창조는 회원들의 브랜드 소유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와 회원의 공동창조는 브랜드 주인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결과가 학계와 업계에 제공하는 관리적 시 사점을 논의했으며, 자료수집과정 및 측정에서의 야기된 연구 한계점들과 그에 따른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As a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era has been emerged with the high technology advance, consumers’ rol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nd consumers has been introduced as an determinant factors for the future consumer relationship manageme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sumers’ role changes, this study developed a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and conducted empirical studies. We identified operation initiative, co-creation and culture development as thre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role changes and specified psychological values such as sense of achievement, membership, and citizenship perception as antecedents and sense of brand ownership as consequences of the role changes. We conducted a survey research by using a consumer panel in the research firm. We collected relevant data about the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from 257 consumers who are acting as community members at 126 brand communities. We conducted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e found that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citizenship perception influenced operation initiative. co-creation and culture development positively. However membership did not influence consumers’ role changes. Also operation initiative and culture development give an positive effects of brand ownership. As a conclusion, we summarized the study results and outlined manageri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for marketing managers.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ed the future reseach directions.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