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 유형 구성 차원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 2025.07.08
-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
영상 광고 내 3B 요소가 유발하는 시각적 주목도와 긍정 정서 : 광고 시청자의 생리 반응 및 설문 데이터에 기반한 인지심리학적 실험 연구
| 2025.07.08
-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본 연구에서는 영상 광고에서 흔히 활용되는 3B(Beast(동물), Baby(아기), Beauty(미인) 요소 가 광고의 주목도와 정서 반응을 실질적으로 유발하는 지를 인지심리학적 실험과 설문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먼저 실험에서는 18명의 참여자에게 3B 요소가 포함된 광고 18건(3B 요소당 6건)을 시청하게 하면서 뇌파와 안구 운동을 동시에 측정한 후 광고 내 3B 요소에 안구 가 고정되었을 때와 기타 영역에 안구가 고정되었을 때의 안구 운동 특성(동공 직경)과 뇌파 특 성(전두엽 알파 비대칭성(FAA))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B 요소 중 Baby(아기) 요소에서 만 유의미하게 동공 직경 크기가 크고 광고 태도가 높았다. 이는 3B 요소 중 아기가 시각적 주 의를 유인하고, 광고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가장 효과적임을 시사한 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3B 요소의 주목도와 정서 반응에 대해 보다 과학적인 검증 기법 인 생리 반응 데이터와 설문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수집, 해석하는 연구 패러다임의 가치를 입증 함으로써 3B 요소 활용 전략 수립을 위한 융합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 3B elements commonly used in video advertisements?Beast, Baby, and Beauty ?effectively elicit attention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is end, we employed both cognitive psychological experiments and survey methods. In the experiment, 18 participants watched 18 video advertisements containing 3B elements (six per element type), during which their EEG and eye movements were simultaneously recorded. We then compared eye-tracking measurement (pupil diameter) and EEG characteristics (frontal alpha asymmetry; FAA) depending on whether participants' gaze was fixed on the 3B element or on other areas of the advertisem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only the Baby element led to a significantly larger pupil diameter and higher advertisement attitude scor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mong the 3B elements, Baby element is the most effective in attracting visual attention and inducing favorable advertisement attitudes. Ultimate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value of a convergent research paradigm that combines physiological data and self-reported measures to scientifically validate the effects of 3B elements on attention and emotional response. It also provides meaningful insights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ies utilizing 3B elements.
-
마약예방 캠페인을 위한 커뮤니케이 션 전략 : 자기참조 효과와 조절초점 이론을 중심으로
| 2025.07.08
-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온라인을 통한 마약의 노출과 접근성이 증가함에 따라 마약 문제는 더욱 심각한 사회적 문 제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마약 예방 캠페인 메시지 전략을 규명하기 위해 자기참조 효과(Self-referencing effect)와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을 적용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2(참조 유형: 자기 vs. 타인) × 2(조절초점: 예방 vs. 향상) 집단 간 실 험 설계를 통해, 메시지 유형이 공포감과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 구 결과, 예방초점 메시지는 공포감과 개인적 위험인식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반면, 향상초점 메시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공포감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위험인식에 서는 조절초점이 핵심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참조 유형과 조절초점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 미하게 나타났고, 특히 성별에 따라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반응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성은 예방초점 메시지가 타인을 참조하는 방식일 때 더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여성은 예방초 점 메시지가 자신을 참조할 때 더욱 강한 반응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마약 예방 메시지 전략이 수용자의 심리적 특성과 성별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효과적인 공중보건 캠 페인 설계를 위한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With the increasing exposure to and accessibility of drugs through online platforms, drug-related issues have become a growing societal concer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drug prevention campaigns by employing an experimental approach based on the self-referencing effect and regulatory focus theory. This study adopts a 2 (reference type: self vs. other) × 2 (regulatory focus: prevention vs. promotion)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message types on audience responses regarding fear arousal and risk perception. Findings indicate that prevention-focused messages significantly increase fear and personal risk perception, whereas promotion-focused messages induce comparatively lower levels of fear. In the case of social risk perception, regulatory focus played a crucial role, with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bserved between reference type and regulatory focus. Notably, gender differences emerged in responses to message types: male subjects exhibited a stronger reaction to prevention-focused messages with an other-referencing frame, whereas female subjects responded more strongly to prevention-focused messages with a self-referencing fram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rug prevention message strategies may function differently depending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der,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effective public health campaigns.
-
온라인 맞춤형 광고 지식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혜택과 손실 인식의 역할
| 2025.07.08
-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본 온라인 맞춤형 광고(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OBA) 지식이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 (예, 대체 검색 방식 사용과 쿠키 및 인터넷 사용기록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1) OBA 지식이 광고에 대한 정보성, 오락성, 유용성 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2) 성가심과 프라이버시 염려를 높여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그리고 (3)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 지각된 혜택을 높이고 지각된 장애 인식을 낮춰 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OBA 지식은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 행동에 대한 지각된 혜택 을 높여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 OBA 지식은 대체 검색 방식 행동 에 대한 자기 효능감, 그리고 쿠키 및 인터넷 사용기록 제거에 대한 지각된 장애 인식에 영향을 미쳐 각각의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이는 소비자가 보유한 OBA 지식 수준에 따라 소비자가 광고와 프라이버시 보호 행동의 요소에 대해 인지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OBA 지식에 대한 연구 확장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examines the impact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 (OBA) knowledge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such as the use of alternative search methods and the deletion of cookies and browsing history.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s three possibilities: (1) OBA knowledge positively influences perceptions of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usefulness of advertisements, potentially having a negative effect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 (2) OBA knowledge increases irritation and privacy concerns, potentially having a positive effect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 and (3) OBA knowledge enhances self-efficacy and perceived benefits while reducing perceived barriers to privacy protection behavior, thereby positively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OBA knowledge increases privacy concerns and perceived benefits of privacy protection, leading to a positive impact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Additionally, OBA knowledge affects self-efficacy regarding alternative search methods and perceived barriers to deleting cookies and browsing history, influencing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level of OBA knowledge can affect how they perceive elements of both advertisements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s. This underscore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implications of OBA knowledge.
-
신유형 광고의 거래유형과 거래방식 연구 :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2025.07.08
-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광고, 리테일 미디어 광고, 커머스 미디어 광고 등 신유형 광고의 거 래 유형과 거래 방식을 분석하고, 광고비 집계의 문제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신유형 광고 시장의 주요 이해관계자(광고 대행사, 플랫폼 기업, 마케팅 전문가, 인플루 언서 등)와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를 수행하였으며, 반구조화 된(semi-structured) 질문지를 활용하여 질적 데이터를 수집·분석했다. 연구 결과, 신유형 광고 의 거래 방식은 직거래와 간접거래로 구분되며, 각 방식의 장단점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또한, 국내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는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도입이 증가하고 있으나, 글로벌 시장과 달 리 독립적인 광고 거래 생태계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아울러, 글로벌 소셜미디 어 및 국내 리테일 미디어 기업들의 광고 매출 비공개로 인해 광고비 집계의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법제적 접근과 광고비 집계 방식 개선이 필요함을 논 의했다. 본 연구는 신유형 광고 시장의 거래 구조를 이해하고, 광고비 집계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nsaction types and methods of new types of advertising such as social media advertising, retail media advertising, and commerce media advertising, and to explore issues related to the aggregation of advertising expenditur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ey stakeholders in the new type of advertising market?including advertising agencies, platform companies, marketing experts, and influencers?as well as academic expert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nsaction methods of new types of advertising can be categorized into direct and indirect transactions, each with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t was also found that while programmatic advertising is increasingly adopted in the domestic digital advertising market, an independent advertising trading ecosystem has yet to be activated, unlike in global markets. In addition, the study identified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advertising expenditure aggregation due to the non-disclosure of advertising revenue by global social media and domestic retail media companies. It was discussed that legislative approaches and improvements to the aggregation system are necessary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transaction structure of the new advertising market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ransparency in advertising expenditure aggregation.
-
숏폼(Short-form) 광고의 AI 추천 알고리즘 특성이 광고피로도와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 : 확증편향, 지각 된 침입성, 알고리즘 신뢰도, 지각된 최적화를 중심으로
| 2025.07.08
-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본 숏폼 광고의 AI 추천 알고리즘 특성이 광고 피로도와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 으로 분석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숏폼 콘텐츠 플랫폼은 AI 기 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개인화가 오히려 광고 피로 도와 회피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확증편향, 지각된 침입 성, 지각된 최적화, AI 알고리즘 신뢰성을 주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광고 피로도를 매개변인 으로 하여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침입성은 광고 피로도에 강한 정적 영향을, 확증편향과 AI 알고리즘 신뢰성은 광고 피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최적화는 광고 피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광고 회피에는 직 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쳤다. 광고 피로도는 광고 회피에 강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효과 분석 결과 지각된 침입성과 AI 알고리즘 신뢰성이 광고 피로도를 매개로 광고 회피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숏폼 광고 환경에서 AI 추천 알고리즘의 부정적 효과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규명한 첫 연구으로 디지털 마케팅 이론 확장에 기여하며, 실무적으로는 광고 피로도와 회피를 완화하기 위한 알고리즘 최적화 전략을 제시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AI recommendation algorithm characteristics on ad fatigue and ad avoidance in short-form advertising. While short-form content platforms experiencing rapid growth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provide personalized advertisements through AI-based recommendation algorithms, this research origina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such personalization may paradoxically induce ad fatigue and avoidance behaviors. The study established confirmation bias, perceived intrusiveness, perceived optimization, and AI algorithm trustworthiness as major independent variables, with ad fatigue as a mediating variable to examine their effects on ad avoid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intrusiveness ha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ad fatigue, while confirmation bias and AI algorithm trustworthiness had negative effects on ad fatigue. Perceived optimiz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ad fatigue but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ad avoidance. Ad fatigue ha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ad avoidance. The mediation analysis confirmed that perceived intrusiveness and AI algorithm trustworthi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ad avoidance through ad fatigue as a mediator. This study represents the first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 negative effect mechanisms of AI recommendation algorithms in short-form advertising environments,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digital marketing theory. Practically, it provides algorithm optimization strategies to mitigate ad fatigue and avoidance.
-
항공사의 ESG 활동이 기업이미지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규모와 ESG 적합도의 조절효과
| 2025.01.15
-
광고 캠페인 및 사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본 연구는 항공사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활동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기업이미지에 미 치는 영향과, 이러한 기업이미지가 다시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항공사 규모와 ESG 적합도가 조절 변수로 작용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ESG 의 세 가지 요인(환경, 사회, 지배구조)은 모두 기업이미지와 구전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 며, 기업이미지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확인되었다. 또한, 항공사 규모와 ESG 적합도는 ESG 활 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는 ESG 활동이 단기적으로는 기업이미지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구전 의도와 같은 소비자 행동에 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 항공사의 규모와 ESG 적합도와 같은 환경적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onsumers' perceptions of airlines'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ctivities on corporate image and how this corporate image subsequently affects word-of-mouth intentions.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airline size and ESG fit act as moderating variables in these relationships. The findings reveal that all three ESG factors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positively influence corporate image and word-of-mouth intention, with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corporate image. Additionally, airline size and ESG fit acted as moder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activities and corporate image. This suggests that ESG activities not only contribute to enhancing corporate image in the short term but als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 behaviors, such as word-of-mouth intention, in the long term. It highlights the need to consid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line size and ESG fit in this process.
-
‘댓글 이벤트’, 어떤 효과가 있는가?: 유튜브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프로모션에 대한 댓글 반응 분석
| 2025.01.15
-
광고와 소비자행동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광고 효과를 측정하는 데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직 접적 반응이라고 할 수 있는 조회수, ‘좋아요’ 수, 댓글의 수 등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그 러나, 이런 표면적인 지표들 외에도 소비자들의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반응이라고 볼 수 있는 댓 글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광고효과의 다양한 차원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플루 언서 광고에 게시된 소비자들의 댓글에 주목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광고 콘텐츠의 특성은 프로모션 제공이다. 특히, 국내에서 많은 기업들이 인플루언서 광고를 집행할 때, ‘댓글 이벤트’라는 형식으로 프로모션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로모션 콘텐츠가 어느 정도의 효과를 갖게 되는지를 댓글의 내용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패션/뷰티 제품군에서 활동하는 16명의 메가 및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가 게시한 160개의 광고 콘텐츠와 이에 게시된 댓글 8,000개 및 대 댓글 1,730개 등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대상의 규모를 기존 연구에 비하여 크게 확대하여 보다 다양한 차원의 효과의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모션 콘텐츠는 효과의 1차적 단계에서는 긍정적 결과를 보여주었지만, 2차적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적극적 상호 작용 반응에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프로모션 제공은 콘텐츠, 제품 등에 대 한 긍정적 댓글을 더 많이 도출해냈지만, 소비자들의 추가적 의견 제기 및 질문, 관련 제품에 대 한 의견 제시 등은 프로모션이 제공되지 않은 일반 광고 콘텐츠에 대한 댓글에서 더 많이 이루어 졌다. 소비자 간 또는 소비자-인플루언서 간의 직접적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는 대댓글은 일반 광고 쪽에서 더 많이 게시되었으며, 주로 인플루언서가 소비자의 질문이나 의견에 대해 응답을 하는 것들이 주종을 이루었다. 프로모션의 집행은 제품 및 콘텐츠에 대한 인지 및 감정의 차원에 서 일정 수준 이상의 효과가 발생한다고 할 수 있지만, 인플루언서 광고의 차별적 장점이라고 할 수 있는 추가적인 상호작용 등을 포함한 확장적 효과에서는 제한적이라는 점은 실무 및 후속 연 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사항일 것이다.
In general, the effectiveness of influencer advertising can be evaluated primarily with the number of views, likes, and replies, which are direct responses to influencer advertising. In addition to these superficial indicators, it is needed to identify various dimension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by analyzing the content of replies, which are direct and specific responses from real consumer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consumer replies posted on influencer ads and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promotion of influencer ads. In particular, it is widely known that influencer ads often accompany with promotions in the form of 'reply ev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motional content through the content of replie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60 ad contents posted by 16 mega and micro influencers in the fashion/beauty category, including 8,000 replies and 1,730 subsequent replies.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size of the sample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t is aim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ness across multiple dimensions. The results shows that promotional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irst stage of the effect, but a somewhat negative effect on the second stage of the effect, which is the active interaction response. Specifically, while promotional offers elicited more positive replies about the content, product, etc., consumers' additional replies, questions, and suggestions for related products were more likely to be made in response to non-promotional content. Direct consumer-to-consumer or consumer-to-influencer interactions were more prevalent on regular ads, primarily involving influencers responding to consumer questions or replies. While the execution of promotions has a certain level of effect in terms of cognition and affection about products and content, it is limited in terms of the extended effects, including additional interactions, which are the differentiating advantages of influencer advertising. Further research efforts and practical application should consider this issue.
-
소비자의 기부대상 선택과 기부참여 제시가 전통적 대의명분 광고(Cause-related Advertising)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새로운 방식의 기부문화를 중심으로
| 2025.01.15
-
기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본 연구는 소비자들에게 대의명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제시했을 때 나타나는 효과 를 분석했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대의명분마케팅 활동에서 기부대상을 선택할 수 있을 때와 소비자의 기부참여가 가능함이 안내되었을 때 브랜드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고, 그 효과가 제품유형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분석했으며, 소비자가 기부에 참여했을 때 재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사전 조사와 본 실험을 설 계해 진행했다. 본 연구는 사전 조사를 통해 적절한 제품유형을 선정했고, 실험에서 사용할 제품 가격대, 회사의 기부금액 및 소비자의 기부금액의 적절성을 확인했으며, 소비자에게 제시한 적절 한 기부대상을 선정했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기부대상의 선택여부, 기부참여의 제시여부가 원인 변수로, 역할인식과 주도성이 중개변수로, 제품유형이 조절변수로 그리고 브랜드태도와 재구매의 사가 결과변수로 설정되었고 이에 적절한 실험 디자인이 설계되었다. 분석결과 본 연구는 기부 대상의 선택여부 및 기부참여 제시여부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역할인식과 주 도성의 매개효과와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그리고 소비자가 기부에 참여했을 때 재구 매의사가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결과가 마케터에게 제공하는 시사점들을 논의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들과 그에 따른 후속연구방향을 제시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marketers when presenting opportuniti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raditional representative marketing activities. First, we analyzed how the brand attitude changes when consumers can choose a donation target in a traditional cause-related marketing campaign and when it is guided that donation participation is possible. Second, w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roduct type. Third, we the effect of consumers' participation in donations on repurchase inten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signed and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and main experiment. Through preliminary survey, this study selected appropriate product types, confirm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duct price range, the company's donation amount, and the consumer's donation amount, and selected appropriate donation targets presented to consumers. In the main experiment, we design selection of a donation target and donation participation as cause variables, role recognition and initiative as mediators, product type as moderators, and brand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as consequence variables. And an appropriate experimental design was designed accordingly.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recognition and initiativ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brand attitude by whether to select a donation target and whether to present donation particip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when consumers participated in donations, they form higher repurchase intentions. This study summarized the research results,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marketing managers and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future research directions.
-
광고 실무자와 소비자가 보는 숏폼 광고 속성 측정에 관한 연구 :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 2025.01.15
-
광고 캠페인 및 사례
|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
숏폼 플랫폼 및 숏폼 콘텐츠 점유율의 지속적인 성장과 이에 따른 숏폼 광고 시장의 성장 속에서 숏폼 광고를 활용한 전략적인 마케팅 실행을 위해서는 숏폼 광고 속성에 대한 이 해가 필수적이다. 특히 숏폼 광고는 영상 패러디, 챌린지 등 소비자의 참여와 확산을 유도함으로 써 광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소비자와 함께 만들어가는 광고임에 따라 소비자와 광고 실무 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관련한 측정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①선행연구 고찰, ②심층 인터뷰, ③총 1,176명을 대상으로 한 세 차례에 걸친 설문조사, ④토 픽모델링 등의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통해 숏폼 광고 속성을 살펴보고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 다. 분석 결과, ①창의적 임팩트, ②몰입과 흥미 유발, ③정보 전달력, ④소통과 참여 유도, ⑤다 양한 표현 방법 등 5가지의 숏폼 광고 속성과 25개의 측정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까지 숏폼 광고의 속성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기인하여 진행된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기존의 척도 개발 연구와 비교했을 때 텍스트 마이닝 등의 분석방법을 결합함으로써 방법론적 확장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 는 숏폼 광고 속성 요인을 바탕으로 숏폼 광고를 활용한 새로운 광고 전략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short-form platforms and content,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short-form advertising industry, comprehe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advertising is crucial for effective strategic marketing implementation. Specifically, when short-form advertisements are collaboratively generated with consumers, including video parodies and challenges that promote consumer engagement and virality, it is essential to thoroughly investigate consumer perceptions and advertising practitioners, as well as to develop measurement item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advertising and formulated measurement questions vi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encompassing ①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② comprehensive interviews, ③ three surveys with a total of 1,176 participants, and ④topic model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attributes of short-form ads and 25 measurement questions were derived: ① creative impact, ② immersion and interest, ③ information delivery, ④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and ⑤ various expression method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n empirical study that was conducted due to the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attributes of short-form ads to date. In particular, it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expand the methodology by combining analytical methods such as text mining compared to existing scale development studies.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it can help to build new advertising strategies utilizing short-form advertis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hort-form advertising found in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