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자-청취자 직접 상호작용에 의해 제작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특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
한국언론학회 |
27 pages|
2014.04.24|
파일형태 :

자료요약
이 논문은 진행자와 청취자 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제작된 라디오 프로그램의 특성을 고찰했다. 연구를 위해, 제작진의 개입이 차단되어 진행자와 청취자만의 상호작용으로 완성된 실제 라디오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했으며, 진행자를 포함한 제작진과 청취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이 연구는 청취자의 라디오 이용 동기, 라디오 매체 특성과 상호작용성, 청취자 협업에 의한 제작 등 관련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진행자와 청취자 간의 직접 상호작용이라는 세부 주제에 초점을 맞췄다. 방송된 프로그램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프로그램 제작에 참여한 제작진과 청취자를 심층 인터뷰함으로써 진행자-청취자 직접 상호작용 포맷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제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진행자-청취자 직접 상호작용에 의해 제작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는 청취자의 몰입도와 이용 만족도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포맷에서는 진행자의 역할이 확대되고 제작진의 업무 내용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라디오 방송이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한 유형임에도 불구하고,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효과가 이 포맷에서 나타나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술 환경이 디지털화되면서 라디오 매체에 전혀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 것이 아니라, 라디오에 전통적으로 내재된 속성이 디지털 환경과 결합하면서 긍정적 변화를 만들어낸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목차
1. 문제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라디오
상호작용성
제작진의 역할
청취 만족도
몰입
라디오 포맷
KBS 라디오
Radio Production
Interactivity
Radio Staff’s Role
Listener’s Satisfaction
Immersion
Format
KBS Radio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