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불평등과 건강시민권 : 사회권과 소통권의 역할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 한국언론학회 | 54 pages| 2024.09.25| 파일형태 :
조회 23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코로나19를 통해 건강을 둘러싼 불평등과 차별 등 ‘사회적 부정의’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동시에, 건강이 개인을 넘어 공동체가 겪는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공동체 건강을 위한 공공의료와 돌봄 확대 등 ‘사회권’의 역할도 부상했다. 이 연구는 팬데믹 이후 출간된 감염병 관련 문헌들을 중심으로 이론적 틀을 갖추고, 감염병이 초래한 건강과 생존, 시민권의 위기를 분석하며, 대안을 모색했다. 문헌들을 이론적 토대이자 분석 자료로 활용해, 시민권의 역사적 전개, 건강권과 소통권의 연결고리, 건강문제에 대응한 시민들의 목소리 내기와 건강권의 전개 과정, 환자의 집단화 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건강-소통의 연결고리를 조명하고, 건강 및 생존위기에 대응해 건강권과 소통권 중심의 대안적 시민권인 ‘건강시민권’의 의미와 역할을 탐색했다. 나아가 송신자 개인 중심의 일방적 표현의 자유가 아니라 타인과 공동체에 대한 존중과 경청을 바탕으로 공동체의 변화를 위해 건강시민권을 공론화할 것을 주장했다. 이 연구는 대안적 시민권이자 사회권인 건강시민권 성취를 위해 ‘아래’로부터의 목소리와 참여 속에 적극적으로 정책과 예산을 투자하는 등 국가와 공동체의 사회권 차원 의무 실천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목차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2. 건강불평등 시대, 건강권과 사회권 이해하기
3. 불평등한 고통에 맞선 ‘건강시민권’의 역할
4. ‘건강권’과 ‘소통권’의 진화와 연결
5. 결론: ‘건강시민권’을 위한 소통의 역할과 대안 찾기
참고문헌
Abstract
#건강시민권#소통권#사회권#대안적 시민권#health citizenship#communication right#social right#alternative citizenship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