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팩트체크와 ‘사실성’의 기술사회적 정의
한국언론학보 | 한국언론학회 | 39 pages| 2024.09.09| 파일형태 :
조회 50 다운로드 0
자료요약
광범위하게 생산되고 빠르게 유통되는 인터넷 상의 오정보, 허위조작정보, 유해정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팩트체크를 자동화하려는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팩트체크 과정 안에서 인공지능이 실행, 배치되는 조건이나 방식을 구체적으로 고찰한 후에 그 안에서 사실성이 협상되고 구성되는 방식을 이해하는 과정이 선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술 중심적인 해결책으로서 인공지능 기술이 제안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 논문은 팩트체크 ‘기술’로서 인공지능이 ‘사실’을 구성하는 방식을 국내외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사례를 통해 검토함으로써 인공지능 팩트체크가 구성하는 ‘사실성’이 사실을 더함으로써 사회적 실재를 구성하던 팩트체크 저널리즘과 어떻게 다른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2023년 10월 기준 국제 팩트체킹 네트워크(International Fact-Checking Network, IFCN)에 의해 인증 받은 세계 팩트체크 인증기관들이 발표한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과 세계적인 싱크탱크인 미국의 랜드 연구소(Rand Institute)에서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대항(fighting disinformation)할 목적으로 구축한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발표한 인공지능 팩트체크 기술 사례들을 검토하고, 각 기술 사례들의 목적과 ‘팩트 체크’ 근거에 따라 1) 주장의 탐지, 2) 증거 추출과 주장의 진실성 검증, 3) 정보 확산 형태의 탐지와 통제로 유형화했다. 이어서 각 유형이 저널리즘이 구축해 온 ‘사실성’을 어떻게 기술사회적으로 구성하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요약하면, 인공지능 팩트체크는 외부세계에 존재하는 ‘객관적 사실’이나 그 요건을 사전적, 기술적으로 규정하고 해당 요건에 맞지 않거나 맞는 것을 걸러내고 대조하는 과정을 자동화 하여 궁극적으로는 기술이 구성할 수 있는 ‘사실의 요건’ 안에서 사실 자체를 재구성한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 여부나 가능성 자체에 집중하고 있는 지금 상황에서 벗어나 팩트체크의 맥락 안에서 인공지능이 실행, 배치되는 조건과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팩트체크의 복잡한 과정 중에 인공지능에 의해 자동화되는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가짜뉴스’가 지칭하는 것은 매우 느슨하게 정의되며 저널리즘에서 강조해 온 사실성 역시 정치적으로 (재)정의될 수 있음을 기술 사례 분석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문헌검토: ‘사실’이 처한 두 가지 맥락
3. 팩트체크와 저널리즘의 사실성 구성
4. 인공지능 팩트체킹과 기술사회적 ‘사실’
5. 결론
References
#Fact-check#Artificial Intelligence#Factuality#Fake News#Journalism#팩트체크#인공지능#사실성#가짜뉴스#저널리즘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