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를 통한 참사 장면 노출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 10.29 이태원 참사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
한국광고홍보학회 |
31 pages|
2025.05.12|
파일형태 :

자료요약
본 연구는 10.29 이태원 참사 당시 소셜미디어를 통한 참사 현장 노출이 이용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소셜미디어를 통해 참사 현장을 탐색하거나 공유한 행위가 참사 현장 노출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해당 매개효과를 소셜미디어 이용 자제 메시지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심리적 트라우마 이론, 배양이론, 미디어 효과에 대한 차별적 감수성 모델 등을 바탕으로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조사 전문 기관이 보유한 성인 남녀 패널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17일부터 23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이뤄졌다. 최종적으로 조사를 완료한 513명의 응답에 대해 프로세스 매크로 모델(PROCESS MACRO MODEL) 4번과 7번을 적용해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를 통한 참사 현장 노출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소셜미디어를 통한 참사 현장 노출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참사 현장 공유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사 현장 공유의 매개효과는 소셜미디어 이용 자제 메시지에 의해 조절되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재난 커뮤니케이션#소셜미디어#이태원 참사#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Disaster Communication#Social Media#Itaewon Disaster#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