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2023년 11월] 2024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2021년 9월] 명품 브랜드 캠페인 성공 사례
- [Market Trend] 타깃 보고서_30-40대 직장인 남성
- [리서치애드]2024년 11월 인터넷 노출형 광고 결산 보고
- MZ세대 건강관리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12월] 한 장이면 고민 끝! 2025 마케팅 이슈 캘린더
- [2023년 11월] 금융 업종 캠페인 성공 사례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 공중과 법무부 간 공중관계성이 이민 만족도 및 한국사회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자 중심으로
자료요약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들이 주로 참여하고 있는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공중 관계성이 이민 만족도와 한국 사회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공중 관계성, 이민 만족도, 한국 사회 신뢰형성 정도를 파악하고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다문화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운영기관과의 관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은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전반적이고 좀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각각 4명, 총 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양적인 연구방법과 질적인 연구방법의 통합적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무부-외국인 근로자 공중관계성이 이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 이들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법무부-외국인 근로자 공중관계성이 한국 사회 신뢰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2>에 대한검증 결과, 이들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민 만족도는 한국 사회 신뢰형성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이들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대부분 외국인 근로자들은 그들이 받는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많이 되었고, 이로 인하여 한국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고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사회통합프로그램 단점으로는, 시험이 너무 많아서 부담이 된다는 의견과 시험이 어려워서 힘들다고 하였으며, 교재가 어려워서 이해하기가 힘들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다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외국인 근로자와 운영기관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기관책임자와 프로그램 담당 강사 관계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수업을 통해 직접 부딪히는 강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로 인해 한국 사람들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으며, 한국생활이 더 즐거워졌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부기관과 외국인 근로자들은 공중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외국인근로자들의 조직-공중 관계성이 이민 만족과 한국 사회 신뢰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정부기관은 외국인근로자들이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인정하면서 여러 가지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해 법무부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정부기관과 외국인근로자 간의 공중관계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은 법무부와 외국인근로자들과의 소통과 통합을 위해 그들의 관계 형성, 유지와 발전에 중요한 이론적인 틀을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은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2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전반적이고 좀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 각각 4명, 총 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양적인 연구방법과 질적인 연구방법의 통합적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무부-외국인 근로자 공중관계성이 이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 이들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법무부-외국인 근로자 공중관계성이 한국 사회 신뢰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2>에 대한검증 결과, 이들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민 만족도는 한국 사회 신뢰형성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이들 간에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외국인 근로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대부분 외국인 근로자들은 그들이 받는 프로그램에 만족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많이 되었고, 이로 인하여 한국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고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사회통합프로그램 단점으로는, 시험이 너무 많아서 부담이 된다는 의견과 시험이 어려워서 힘들다고 하였으며, 교재가 어려워서 이해하기가 힘들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다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외국인 근로자와 운영기관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기관책임자와 프로그램 담당 강사 관계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수업을 통해 직접 부딪히는 강사와의 긍정적인 관계로 인해 한국 사람들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으며, 한국생활이 더 즐거워졌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부기관과 외국인 근로자들은 공중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우호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외국인근로자들의 조직-공중 관계성이 이민 만족과 한국 사회 신뢰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정부기관은 외국인근로자들이 진정으로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인정하면서 여러 가지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해 법무부의 사회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정부기관과 외국인근로자 간의 공중관계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조직-공중 관계성 이론은 법무부와 외국인근로자들과의 소통과 통합을 위해 그들의 관계 형성, 유지와 발전에 중요한 이론적인 틀을 제공할 것이다.
목차
서론
이론적 배경
PR의 조직-공중 관계성
PR 관점에서의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
이민 만족도
한국사회 신뢰형성
정부의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절차
자료 분석 방법
연구결과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각 요인별 확인적 요인분석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인구통계학적 분석
기술통계 분석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의 영향도 분석
분석결과
연구모형 검증 결과
<연구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
<연구가설 2>에 대한 검증 결과
<연구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토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이론적 배경
PR의 조직-공중 관계성
PR 관점에서의 다문화사회와 사회통합
이민 만족도
한국사회 신뢰형성
정부의 다문화 프로그램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절차
자료 분석 방법
연구결과
측정항목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각 요인별 확인적 요인분석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인구통계학적 분석
기술통계 분석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의 영향도 분석
분석결과
연구모형 검증 결과
<연구가설 1>에 대한 검증 결과
<연구가설 2>에 대한 검증 결과
<연구가설 3>에 대한 검증 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결과
토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조직-공중 관계성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
법무부
이민 만족도
한국사회 신뢰도
사회통합프로그램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Foreign Workers Residing in Korea
The Ministry of Justice
Level of Satisfaction
Trust toward the Korean Society
Social Integra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