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와의 전쟁인가? 아니면 흡연자와의 전쟁인가? 자아개념, 자유 위협, 분노가 금연 행동의향에 미치는 영향
자료요약
본 연구에서는 흡연자들이 흡연의 폐해를 강조하는 메시지에 대해 강한 거부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자아 개념 및 심리적 저항 이론에 입각해 살펴보았다. 또한 저항 개념을 건강 메 시지를 처리할 때 나타나는 감정적 반응 즉 분노로 개념화하고 메시지에 대한 분노의 강도 뿐 아니라 분노의 대상이 금연행위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152명의 20에서 40 대 성인 남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흡연자로서의 자아 개념이 강할수 록 더 흡연 메시지가 흡연자의 자유를 위협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시지가 흡연 자의 자유를 위협한다고 느낄수록 더 분노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가 강할수록 더 금연 의지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노의 대상이 정부나 담배회사와 같은 타인 으로 향하는 집단이 흡연자 자신에 대한 분노를 느끼는 집단보다 더 금연의지가 낮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나 논의점이 본문에 제시되었다.
152명의 20에서 40 대 성인 남성 흡연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흡연자로서의 자아 개념이 강할수 록 더 흡연 메시지가 흡연자의 자유를 위협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시지가 흡연 자의 자유를 위협한다고 느낄수록 더 분노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가 강할수록 더 금연 의지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노의 대상이 정부나 담배회사와 같은 타인 으로 향하는 집단이 흡연자 자신에 대한 분노를 느끼는 집단보다 더 금연의지가 낮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에 대한 함의나 논의점이 본문에 제시되었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1) 흡연광고와 심리적 저항
2) 흡연자 자아 개념(smoker’s selfconcept)과 인지된 자유 위협
3) 인지된 자유 위협과 분노
4) 분노와 금연의지
5) 감정의 대상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연구변인 및 측정
4. 분석 및 결과
1)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2) 가설 검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2. 문헌연구
1) 흡연광고와 심리적 저항
2) 흡연자 자아 개념(smoker’s selfconcept)과 인지된 자유 위협
3) 인지된 자유 위협과 분노
4) 분노와 금연의지
5) 감정의 대상
3.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연구변인 및 측정
4. 분석 및 결과
1)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2) 가설 검증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심리적 저항
간접흡연
감정적 반응
금연광고
흡연자 자아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