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 :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규범적 대인민감성, 정보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 한국광고학회 | 35 pages| 2014.07.31| 파일형태 :
조회 1907 다운로드 2
자료요약
본 연구는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에 따른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 즉 메시지 태도와 온 라인 구전의도(e-WOM)를 알아보았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의 주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규 범적 대인민감성(n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s), 정보적 대인민감성(informative interpersonal influences)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사회적 거리감 원/근)x2(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고/저)x2(규범적 대인민감성 고/저)x2(정보적 대인민감성 고/저)의 요인 설계를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먼 경우보다 메시 지 태도와 온라인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한,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가 낮을 때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메시지 태도, 온라인 구전의도 각각에 대한 차이가 크게 나타난 반면,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가 높을 때는 사회 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 효과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규범적 대인민감성과 사회적 거리감 각각은 광고 효과 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지만, 두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아, 규범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 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보적 대인민감성이 높을 때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메시지 태도와 온라인 구전의도 각각에 대 한 차이가 크게 나는 반면, 정보적 대인민감성이 낮을 때는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광고 효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의 광고 효과에 관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탐색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실무적 차원에서도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와 관련한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초 정보로서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1) 전도사 (evangelist) 마케팅
2)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
3) 설득 지식모델(Persuasion Knowledge Model: PKM)
4) 대인적 영향에 대한 소비자 민감성(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3. 연구가설
4. 연구 방법
1) 실험 설계
2) 실험 자극물의 제작
3) 사전 조사 및 자극물의 조작점검
4) 실험 대상자 선정 및 실험 절차
5) 변인의 조작화와 측정
5. 연구결과
1) 실험 대상자의 특성
2) 실험 자극물의 조작 점검
3) 항목 별 신뢰도 검증
4) 사회적 거리감의 주 효과 분석
5)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의 조절 효과 분석
6) 규범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
7) 정보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
6. 결론 및 제언
기업 페이스북 SNS 사회적 거리감 노골적 설득 의도 대인민감성 구전의도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