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C 정치활동의 미디어 담론과 그 의미 : 담론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2009 한국언론정보학회 가을철 학술대회 | 한국언론정보학회 | 29 pages| 2010.03.19| 파일형태 :
조회 2031 다운로드 3
자료요약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뉴미디어가 사회 변화를 추동하는 데 있어 지대한 공헌을 한다는 점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 뉴미디어가 정치 참여적 환경을 크게 변화시켰다는 주장이나, 직접 민주주의를 제도적으로 이룰 수 있는 대안이라는 주장, 그리고 숙의의 정치를 할 수 있는 공공의 장소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주장들은 매우 설득력 있게 들린다.

2007년이 시작될 무렵 한국사회의 언론은 UCC를 화두로 던졌다. 한 언론은 ‘UCC를 통해 정권을 창출하라!’는 격정적인 슬로건을 내걸면서까지 UCC가 현실정치에 미칠 영향력을 예측했다. 2006년 말이나 2007년 초의 언론 보도만을 접한 사람이라면 UCC를 황금알을 낳는 차세대 미디어 성장 모델이며, 사용자가 프로슈머로서 문화생산에 참여하고, 심지어 정치 공론장을 실현할 수 있는 전가의 보도처럼 여길지도 모른다. 그러나 정치 UCC는 ‘유권자의 정치참여 방식’이 아닌 ‘후보자의 캠페인 수단’으로 전락했고, 정치 UCC의 기능에 대해 과잉담론을 만들어낸 미디어는 특별한 반성 없이 오락적 기능의 성과물만 이용했다.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기존문헌 고찰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UCC 정치 미디어 미디어담론 UCC정치활동 정권 언론보도 정치커뮤니케이션 설득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정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