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doption of the Standard Audit Hours Policy, Increases in Audit Hours and Audit Fees, and Market Responses to Earnings: A Study of the Korean Stock Market
Korea Business Review | 한국경영학회 | 32 pages| 2024.06.14| 파일형태 :
조회 116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에서는 2019년 도입된 표준감사시간제도가 투자자 측면에서 이익정보력을 증가시키는데 기여를 하는지, 또한 이 제도의 도입으로 인한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의 증가가 수익률-이익 관계를 향상시키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우선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수익률-이익 모형에서 측정한 이익반응계수(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ERC)를 이용하여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 전후(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이익의정보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균적으로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이 투자자 측면에서 이익정보력을 향상시킨다는 일관된 결과를 쉽게 관찰하지는 못하였다. 둘째, 연도-산업 평균치를 차감한 감사시간이 증가한 기업들의 경우와 시간당 감사보수가 증가된 기업들의 경우는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이익정보력이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셋째, 연도-산업 평균치를 차감한 감사보수가 증가한 기업들의 경우는 투자자 측면에서 이익정보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결과는 주로 중소형(non-Big 4) 감사인에게 감사를 받은 기업들에서 관측이 되었고, 또한 표준감사시간제도 도입 이후(2019~2020)에 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은 표준감사시간제도가 규모가 큰 회계법인보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감사인에게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대형(Big 4) 회계법인으로부터 주로 감사품질 제고를 기대해왔던 것과 달리 표준감사시간제도의 도입 이후에는 규모가 작은 중소형 회계법인에서 감사보수가 증가하면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감사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인식하여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회계실무를 담당하는 회계법인뿐만이 아니라 회계규제기관이나 정책입안자에게 감사품질 제고와 관련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Institutional Backgrounds, Hypothesis Development, and Research Design
Ⅲ. Sampling Process and Descriptive Statistics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
REFERENCES
국내참고문헌
요약
#Standard Audit Hours Policy#increase in audit hours#increased per-hour audit fees#auditor size#earnings informativeness#표준감사시간제도#감사시간의 증가#시간당 감사보수의 증가#회계법인의 규모#이익정보력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