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기사의 사진과 내용이 사후 광고태도에 미치는 암묵적 영향
한국광고학회 | 한국광고학회 | 22 pages| 2015.08.24| 파일형태 :
조회 1015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잡지기사의 사진과 내용은 독자에게 특정한 심리를 유발할 수 있다. 그 다음 페이지에 접하게 되는 잡지광고에 대한 태도는 이전 기사로부터 유발된 심리에 무의식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잡지기사의 사진이 소비자에게 공간적 거리감을 유도하고, 기사 내용이 사회적 거리감을 유도하여 뒤이은 광고태도에 무의식적이고 암묵적인 효과를 미칠 것이라 예상하였다.
 
실험 1에서 잡지기사의 사진이 접사 형태일 때 뒤이은 광고에서 구체적 헤드라인이 선호되고, 먼 거리를 조망하는 사진일 때 추상적 헤드라인이 더 선호됨을 밝혔다. 그 이유는 사진의 거리감이 멀어질수록 추상적인 상위차원의 이해를 하기 때문이다.
 
실험 2에서 잡지기사의 내용이 독자 자신과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계층에 관한 주제일 때 현실성(feasibility)에 기초한 광고헤드라인을 선호하고, 사회적 거리가 먼 계층의 주제일 때 소망성(desirability)에 기초한 헤드라인을 더 선호함을 밝혔다.
 
실험 3에서 잡지기사의 사진과 내용이 중복된 심리적 거리감을 유발하는 효과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사진과 내용이 모두 가까운 심리를 유도하는 경우에만 뒤이은 광고에서 현실적 헤드라인을 더 선호하였다. 둘 중 하나라도 멀어지면 소망적 헤드라인이 더 선호되었지만, 둘 다 멀어진다고 해서 소망적 헤드라인이 더욱 선호되는 효과는 없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잡지기사와 광고태도의 영향 관계
 2) 잡지기사와 심리적 거리감
3. 실험 1
 1) 실험설계 및 예비조사
 2) 실험절차 및 설문지의 구성
 3) 조작점검 및 신뢰성 검토
 4) 잡지 사진과 뒤이은 광고태도
 5) 인지적 수월성의 매개효과
 5) 공변량 검토
 6) 결과 논의
4. 실험 2
 1) 실험설계 및 예비조사
 2) 실험절차 및 조작점검
 3) 기사내용과 광고태도
 4) 결과 논의
5. 실험 3
 1) 실험설계와 절차
 2) 실험 결과 및 가설 검증
4. 결론
 1) 결과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잡지광고 광고 헤드라인 추상적 구체적 현실성 소망성 해석수준이론 magazine advertising headline abstract concrete desirability feasibility the construal level theory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