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 이론 | 한국언론학회 | 43 pages| 2016.07.05| 파일형태 :
조회 2293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이 연구는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실천이론이 되는 소통행위(communicative action)이론들을 바탕으로 공동체와 소통 간의 관계가 공동체미디어에 의해 매개되는 과정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마을공동체미디어라는 커뮤니티미디어를 중심으로 미디어 참가자들이 공동체를 규정하는 방식에서 소통행위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공동체미디어 참가자들의 공동체를 위한 소통행위의 동기와 목적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공동체미디어의 조직화 과정을 지역공동체의 공론장 구조의 재구성 맥락 차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인터뷰와 각종 문서자료의 질적 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도시공동체운동은 노스탤지어적인 감정적 실천에 기반하여 공동체를 규정하고 소통행위의 실천 근거를 찾고 있었으며, 공동체미디어는 소통행위의 동기와 소통방식에 따라 주민마을미디어, 시민마을미디어, 마을언론미디어, 관변마을미디어 등 상이한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공동체 공론장 역시 소통 동기와 방식에 따라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을 바탕으로 소통행위를 통한 공동체 형성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Based upon communicative action theori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otivations, various ways of communicative actions, and the processes to construct communities. More specifically, we tried to answer to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ing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how community members define their community and their ways of communicative actions, what are their motivations and purposes for the actions, and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ir communities. In particular, we tried to answer to these questions from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of interviews and documents gathered throughout the various urban community media sites in Seoul. We found that the communicative actions to reconstruct their communities are centered around emotional nostalgic feelings and ideas that motivate their actions. However, the purposes as well as the ways of communicative actions are varied between the communities to the extent that the forms of community media are distinctively formed around different networks of communities of action. The findings enabled us to categorize those community media in accordance with the motivation and ways of communicative actions of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 media. The diversity of the media signifies the unique structure of community based public spheres and cul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4. 분석
5. 결과 및 토론
참고문헌
Abstract
커뮤니티미디어 공동체미디어 마을공동체 도시공동체 공동체 공론장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언론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