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의 국가간 색채 비교 : 민코프스키(Minkowski) 거리로 보는 한일 리메이크 드라마의 채도(S)와 명도(V) 차이
자료요약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의 소구력 요소 중 하나로 색채에 주목하여 한국 드라마 영상 특징을 원작과 리메이크 드라마에 대한 색채 비교에서 찾으려고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에서 각기 제작된 원작 및 리메이크 드라마 3쌍, 즉 6편의 드라마를 분석하였다. 원작과 리메이크 드라마를 비교함으로써 장르와 스토리 라인의 차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색채 차이를 최대한 통제하고, 동일 내용을 제작할 때 나타나는 실질적인 색채 차이를 규명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편을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인 특징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문화적 혼종 현상으로서 글로컬라이제이션이 일어나는 방식을 드라마의 색채 감성, 그 중에서도 명도와 채도 대비로 표현되는 표현의 문제로 보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측정 방식으로는 화면의 색상을 주조색 3개로 구분하고 가장 명도와 채도 차이가 큰 주조색간 차이를 맨하탄 거리와 유클리드 거리로 측정하였다. 이 두 개의 거리는 일반화된 공식으로 민코프스키거리라 불린다. 분석 결과는 한국 드라마가 일본 드라마보다 채도 대비가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일본 드라마는 채도 대비가 높지 않았다. 이는 한국 드라마가 원작 드라마인지 리메이크 드라마인지 등의 원작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이론적으로 보면 이러한 차이는 자연 환경에 의해 색채 선호가 영향을 받는다는 생태적 유의성 이론(ecological valence theory)의 내용을 뒷받침하는데, 미디어 연구로 한정하면, 이 결과는 영상 콘텐츠의 표적 수용자층에 맞는 영상 제작 방식이 더욱 더 높은 소구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영상 드라마 분석에 디지털 영상 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색채를 수치화하여 비교하였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디지털 영상 분석 방법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연구 배경
2. 이론 및 기존 문헌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토론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2. 이론 및 기존 문헌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토론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Color Comparison#Saturation#Value#Remake Drama#Cultural Hybridity#민코프스키 거리#문화간 색채 비교#생태적 유의성 이론#색채 선호#명도-채도 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