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rket Trend] 타깃 보고서_30-40대 직장인 남성
- [리서치애드]2024년 11월 인터넷 노출형 광고 결산 보고
-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12월] 한 장이면 고민 끝! 2025 마케팅 이슈 캘린더
- [2021년 9월] 명품 브랜드 캠페인 성공 사례
- [2023년 11월] 2024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나스미디어]2024년 11월 2025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3년 11월] 금융 업종 캠페인 성공 사례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기업의 공포소구 메시지에 대한 연구 : EPPM의 적용
자료요약
본 연구는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기업의 적극적인 환경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환경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으로 공포소구 메시지를 선택했을 때 설득 효과를 검증하고자 Witte의 EPPM(확장된 병행과정 모델)을 이론적 기반으로 설정했다. 메시지의 공포 수준(고 vs. 저)과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로 인한 피해 대상 프레임(개인 vs. 자연)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위협과 효능감의 지각을 매개해 친환경 행동 의도가 높아지고 기업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공포소구 메시지와 함께 개인이 평소 환경문제에 대해 가지고 있던 환경 죄책감이 상호작용할 때 설득 효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 256명을 대상으로 2×2 집단 간 실험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메시지의 공포수준이 높을 때 위협과 효능감을 크게 지각하고 그로 인해 친환경 행동 의도가 높아졌다. 반면, 개인의 피해에 집중했을 때 친환경 행동 의도가 높아졌으나 지각된 위협과 지각된 효능감을 매개하지 않았다. 또한 환경 죄책감이 클수록 친환경 행동 의도가 높아지며 공포 수준이 높은 메시지와 상호작용하여 설득 효과가 더욱 커졌다. 최종적으로 기업의 공포소구 메시지로 인해 형성된 친환경 행동 의도가 높을 때 기업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EPPM의 환경 커뮤니케이션에 적용을 시도한 의의를 발견했으며 기업이 적극적인 환경커뮤니케이션 주체가 되어 공포소구 메시지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용적 의의 또한 찾을 수 있었다.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가설 및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2. 문헌연구
3. 가설 및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환경 커뮤니케이션
플라스틱 쓰레기
피해 대상 프레임
환경 죄책감
Environmental communication
Plastic Pollution
EPPM
Frame of Damage
Eco-gui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