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대상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이 전립선암 조기검진 촉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 한국광고홍보학회 | 57 pages| 2024.05.27| 파일형태 :
조회 92 다운로드 0
자료요약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전립선암의 조기검진 촉진에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을 모색하고자, 메시지 대상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효과를 탐구하였다. 특히, 건강신념의 매개역할 탐구를 통해 메시지 전략이 영향을 발휘하는 과정과 사회적 거리감이 효과를 발휘하는데 있어 이득-손실 프레이밍의 조절역할 또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립선암 고위험군인 40세 이상 남성을 대상으로 2(사회적 거리감: 가까운 vs. 먼) X 2(이득-손실 프레이밍: 이득 프레임 vs. 손실 프레임) 요인 설계로 온라인 실험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태도와 전립선암 조기검진에 대한 태도는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전립선암 조기검진 실천의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울수록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심각성 역시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사회적 거리감이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태도, 전립선암 조기검진 실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이익의 매개 역할이 확인되었으며, 사회적 거리감과 전립선암 조기검진 태도의 관계에서는 지각된 이익의 매개 역할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전립선암 관련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진행된 연구로써, 메시지 대상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인식을 중심으로 전립선암 조기검진에 대한 태도 및 실천의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이로써 전립선암 조기검진 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캠페인 메시지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전립선암 조기검진#사회적 거리감#해석수준이론#건강신념모델#Prostate cancer early detection#Social distance#Construal level theory#Health belief model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광고홍보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