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메조미디어 트렌드 리포트
- [메조미디어]?미디어&마켓 이슈?2025년 1월 호
- [2023년 11월] 2024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
- [2023년 6월] 2023 상반기 Media Trend Report
- [2021년 9월] 명품 브랜드 캠페인 성공 사례
- [Market Trend] 타깃 보고서_30-40대 직장인 남성
- [리서치애드]2024년 11월 인터넷 노출형 광고 결산 보고
- MZ세대 건강관리 트렌드 리포트
- [2024년 12월] 한 장이면 고민 끝! 2025 마케팅 이슈 캘린더
- [2023년 11월] 금융 업종 캠페인 성공 사례
자료요약
최근 ESG 리스크의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ESG 리스크 유형에 따라 공중의 부정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ESG 리스크 유형별로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ESG 요인(E/S/G)과 ESG 리스크 원인(능력 vs. 도덕성)에 따라 구분된 ESG 리스크 유형에 따라 공중의 온라인 공격행동, 관계전환의도, 불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사전 기업명성인 CA(corporate ability)명성과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명성, 기업의 혼합 대응전략(사과+정당화 vs. 사과+입지강화)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환경(E)리스크보다 사회(S)리스크에서 관계전환의도와 불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ESG 리스크 원인이 능력일 때보다 도덕성일 때 온라인 공격행동, 관계전환의도, 불매의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CSR명성은 사회 리스크와 지배구조(G) 리스크에 대한 온라인 공격행동과 불매의도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ESG 리스크 원인이 도덕성일 때보다 능력일 때 CSR명성이 관계전환의도와 불매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덕성원인+환경리스크와 능력원인+ 지배구조 리스크에서는 사과+입지강화 전략이 온라인 공격행동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능력 보다는 도덕성이 원인인 ESG 리스크에서 사과+입지강화 전략이 관계전환의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는 ESG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고, ESG 리스크에 대한 대응과 관련해 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실용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모형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모형 및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ESG 리스크#ESG 리스크 원인#사전 기업명성#혼합 대응전략#ESG risk#Causes of ESG risk#Prior corporate reputation#Mixe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