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와 부하의 쌍(dyad) 관계에서 목표성향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25 pages| 2024.04.05| 파일형태 :
조회 63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어려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능력이나 스킬 이외에 목표에 대한 인지적인 틀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면서(Dweck, 1986), 인사조직 분야의 많은 이론과 연구들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변인으로서 목표성향을 주목하고 있다. 이들 연구는 주로 개인의 목표성향이 행동 및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입증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과 가장 밀접한 연계성을 갖는 상사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목표성향 연구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개인-환경 적합성과 특성활성화 이론을 토대로 상사-부하 155쌍(dyad)의 자료를 위계적 선형 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설에서 예측한대로 상사의 학습성향은 부하의 학습성향과 자기주도행동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의 성과증명성향의 억제 효과도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하의 성과증명성향과 자기표현행동의 관계에서는 가설에서 예측한 것과 반대로 나오거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우선, 상사의 학습성향은 부하의 성과증명성향과 자기표현행동의 관계를 억제시킬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오히려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와 부하의 성과증명성향이 모두 높으면 부하의 자기표현행동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상사의 성과증명성향은 부하의 성향에 상관없이 그 자체로 부하의 자기표현행동을 유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사가 단순히 유사한 성향을 가졌다고 해서 부하의 특성을 강화시키기 보다는 상사의 성향이 얼마나 강력한 상황요소로 작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oal orientation#learning orientation#P-E fit#performance-proving orientation#proactive behavior#self-presentation behavior#trait activation theory#개인-환경적합성#목표성향#성과성향#자기주도행동#자기표현행동#특성활성화#학습성향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료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