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의 빛: 릴루미노>

[히든스토리] 시각장애인을 위한 감성 멜로 <두개의 빛: 릴루미노>
CHEIL WORLDWIDE 기사입력 2017.12.29 12:00 조회 5875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시각장애인 약 2억 5000만 명. 그중 빛을 자각하지 못하는 전맹(全盲)은 14%입니다. 나머지 86% 시각장애인은 빛과 명암을 구분할 수 있는 저시력자에 해당하죠.

릴루미노(Relúm?no)는 삼성전자 사내 벤처 프로그램 C랩이 개발한 시력 보조 앱입니다. ‘빛을 되돌려주다’라는 라틴어 어원에서 이름을 따왔는데요. 저시력으로 고통 받는 분들이 TV를 보거나 책을 읽는 등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취지에서 개발됐습니다. 지난 20일, 삼성전자와 제일기획이 시각장애인 캠페인의 일환으로 제작한 단편 영화 <두개의 빛: 릴루미노>가 공개됐습니다.



 

<두개의 빛: 릴루미노>는 저시력자를 위한 VR 시력 보조앱을 ‘릴루미노’를 알리기 위한 단편 영화입니다. 이 작품은 사진동호회에서 만난 수영(한지민)과 인수(박형식)가 사진을 완성해가며 서로의 마음을 향해 조금씩 다가가는 이야기를 그렸는데요.

스크린의 로맨티스트 허진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습니다. 그는 △8월의 크리스마스(1998) △봄날은 간다(2001) △행복(2007) △호우시절(2009) 등 남녀 간의 감정을 능숙하게 다루는 연출자이자 충무로 멜로 거장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오랜 만에 자신의 ‘전매 특허’ 감성 멜로로 돌아왔습니다. 허진호 감독의 연출 계기는 이렇습니다. 엄마 얼굴을 본적 없는 아이가 엄마를 알아보고, 30~40년 넘게 우정을 나눈 친구들이 서로의 얼굴을 처음 보고, 저시력자가 피아노를 연주하고… 릴루미노 실제 시연 영상을 통해 접한 몇몇 장면들이 그를 움직였는데요. “영화 제작 이전엔 ‘시각장애인’ 하면 전맹을 생각했는데 실제로 우리나라 25만 명 정도의 시각장애인 가운데 21만 명 정도가 저시력자라며 이번 기회로 좀 더 자세히 알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광해, 왕이 된 남자(2012) △변호인(2013) △덕혜옹주(2016) 등을 촬영한 베테랑 이태윤 촬영감독과 △선물(2001) △봄날은 간다(2001) △마음이(2006) 등 한국 영화계의 엔리오 모리꼬네 조성우 음악감독이 동참해 감성의 결을 한층 더했죠.

 

눈에 보이는 연기 그 이상을 담은 두 배우

<두개의 빛: 릴루미노>에서 한지민씨는 밝고 당찬 미소를 가졌지만 시각장애 아픔을 감추고 살아가는 아로마 테라피스트 ‘수영’ 역을, 박형식씨는 시력을 차츰 잃어가고 있는 섬세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지닌 피아노 조율사 ‘인수’ 역을 각각 맡았습니다.



 

멜로 영화의 남녀 주인공 모두가 시각장애인이라는 건 두 배우에게 ‘도전’이었습니다. 기존 멜로 영화와 달리 서로의 시선을 맞추지 않고 손짓?몸짓?표정만으로 감정을 표현해야 했거든요. 실제로 한지민씨는 “촬영 전 저시력 체험 안경을 쓰거나 한 쪽 눈동자만 움직이는 연습으로 시각장애인들이 느끼는 고충을 몸소 체험하며 사실적인 연기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했다”고 합니다. 이는 영화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는데요. 시각장애인 역할에 첫 도전한 한지민씨는 촬영에 앞서 시각장애인들과의 만남을 통해 느낀 그들의 밝은 성격을 캐릭터에 녹여냈고, 저시력으로 인해 불명확해진 시선까지 디테일하게 포착하며 캐릭터를 생생하게 연기했죠.

한편, 첫 스크린 연기에 도전장을 내민 박형식씨. 기존 드라마에서 선보였던 장난기 가득한 고등학생부터 철부지 막내 아들, 자신만만한 재벌 후계자까지 다채로운 매력을 뽐내며 차세대 배우로 주목 받고 있는데요. 이번 영화에서 그는 어릴 적부터 꿈꾸던 피아니스트의 꿈을 접고 새로운 삶에 적응해나가는 인수를 연기했습니다. 특히 깜깜해져 가는 세상, 모든 것이 낯설기만한 일상, 앞날에 대한 두려움 등을 섬세한 감정으로 표현했는데요. 첫만남에서 까칠했던 인수가 수영에게 그리고 세상에 마음을 열고 다가서는 과정은 관객을 몰입시키는 장면 중 하나입니다.

 

시각장애인을 바라보는 시선, 마음을 울리다

<두개의 빛: 릴루미노>에는 주목해야 할 몇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먼저, 주요 배경이 되는 사진 동호회입니다. 사진은 ‘빛의 예술’로 통합니다. 빛으로 피사체를 식별하고 빛을 활용해 표현하기 때문인데요. 이 영화는 시각에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촉각?청각?후각으로 세상을 포착하는 이들의 모습을 잔잔하게 담아내 눈에 보이는 것 그 이상의 세상을 보여주죠. 사진을 찍는 행위가 단지 선명한 시야에 있지 않다는 이야기를 건네는 지점입니다.



그 다음으로 시각장애인을 향한 시선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시각장애인에 대해 어둡고, 우울하고, 슬픈 이미지를 떠올립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오히려 더 행복하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를 방증하듯 등장 인물 모두 밝고 씩씩한 성격을 지녔는데요. 저마다 자신만의 방법으로 세상 속 행복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죠. 이를 표현하는 방식 역시 담담하고 잔잔합니다. 어떤 특정 메시지를 강조하기보다 타인의 삶을 있는 그대로 풀어내는데요. 꾸밈없이 과장없이 흘러가는 스토리는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에 스며들게 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편견과 서툰 배려에 대한 울림입니다. 일례로 공원을 걷던 수영이 발을 헛딛자 한 할머니가 달려옵니다. 수영을 부축하기 위해 팔을 잡은 순간 수영은 놀란 나머지 넘어지고 마는데요. 이는 할머니 입장에선 시각장애인을 위한 배려였지만, 수영의 입장에선 낯선 타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다칠 수 있었던 위급한 상황이었죠. “내가 데려다 줄게” “이렇게 예쁜데 불쌍해서 어떡혀” “힘들어도 딴 마음 먹지 말고 잘 살아” 등 할머니의 대사는 시각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를 돌아보게 합니다.



 

올 겨울 따뜻한 빛이 돼줄 영화 <두개의 빛: 릴루미노>. 세 번의 출사, 다섯 번의 만남 속 수영과 인수는 서로의 빛이 될 수 있을까요? 영화의 엔딩 크레딧 이후에 나오는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놓치지 마세요.

감성멜로 ·  두개의빛 ·  릴루미노 ·  박형식 ·  영화 ·  한지민 ·  허진호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월간 2025밈] 01월 편 - 일하기 싫은 직장인... 아니 키티
  •  일하기 싫은 키티 •  햄스터 밈의 정석!? 밤톨이들??  •  16년 만에 돌아왔다. 월레스와 그로밋 대공개!    •  QUEEN NEVER CRY  •  올해 계획 어떻게 세울까? 만다라트?   일하기 싫은 키티    일하기 싫은 오천만 직장
[어텐션, 크리에이터]2023 최다 조회수 인기 쇼츠 TOP 5
하루에도 수없이 올라오는 유튜브 쇼츠. 그중에서도 소수의 영상만이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아 대중에게 널리 널리 퍼진다. 그렇다면 과연 지난해엔 어떤 쇼츠가 우리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을까? 올해 콘텐츠를 준비하기에 앞서 2023년 가장 많은 조회 수를 끈 쇼츠를 복습해 보자.
2023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4년 전망
2023년 연초 광고 시장에 드리웠던 불안한 예감은 현실이 됐다. 지난 2021년 20.4%라는 큰 성장 이후 2022년 5.4% 재 성장하며 숨 고르기로 다시 한번 도약을 준비하던 광고 시장이었다. 하지만 발표된 다수의 전망들은 2023년 광고 시장의 축소를 내다보고 있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 따르면 2023년 광고비는 전년 대비 3.1%p 하락으로 전망됐고, 이중 방송 광고비는 17.7% 감소가 예상됐다.
“그 정도가 딱! 겔포스엘 먹을 정도” - 겔포스엘 캠페인
  캠페인 한줄평     #약 먹을 정돈 아니라고? 아니, 그 정도가 딱! 겔포스엘 먹을 정도   ?겔포스엘의 과제는?   “2030 영타깃을 중심으로 엔트리 유저 유입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주세요”   “속 쓰림엔 역시 겔포스!”라는 카피로 친숙한 겔포스, 지난 캠페인에는 타깃에게 친숙한 아이콘 주현영
[캠페인 하이라이트] MCC 고베식당을 이야기하다
크리에이티브 컨설팅, 실행을 담보로 할 수 있을 것인가? ‘MCC 고베식당’ 프로젝트는 둘로 나뉘어진다. 바로 컨설팅과 실행이다. 그 둘이 함께 붙어 있기에 힘을 발휘한 프로젝트였고, 또한 둘로 나뉘어 있기에 어려운 프로젝트기도 했다. 2010년 4월 27일 매일유업에서 날아든 굵직한 숙제 하나. “우유하던 우리가 카레를 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하면 잘 할지… 총체적으로 해봐!” 그렇게 시작된 숙제는 제일기획으로서는 새로운 ‘제품 컨설팅’ 의 영역이었다. 지금 이 시점, ‘ 크리에이티브 컨설팅’이라 명명된 우리만의 USP(Unique Selling Point)가 되어가고 있지만 초기만해도 가뜩이나 압도적 독점브랜드가 있는 시장 상황 속에 제품개발도 완결되지 않은, 유통도 가격도 결정되지 않은 실로 막막한 프로젝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