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집전화, 외로운 부모님 마음을 그리다!
기사입력 2008.06.10 12:00 조회 6742


 

KT 집전화가 저녁 시간을 알리는 시보(時報) 광고에서 백구의 울음소리로 부모님들의 마음을 알리기 시작했다!!

오는 6월부터 KT 집전화가 매일 저녁 8시부터 9시 사이 새롭게 선보이는 광고에서 오랜 세월 귀에 익숙한 기존 시보음(뚜뚜뚜 뚜~)이 백구의 애타는 울음소리(따르르~르르릉)로 파격적으로 바뀌었다. 


이는 KT 집전화가 ‘효(孝)’요금제를 대대적으로 알리기 위한 광고로서 저녁시간 강아지 짖는 소리만 들어도 전화 벨소리로 착각할 만큼 외로운 부모님들의 마음을 제대로 헤아린 시보 광고로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이번 광고를 통해 KT 집전화는 누구나 마음만 있을 뿐 부모님께 안부 전화 한 통 하기가 쉽지 않은 저녁 시간 대에 애타게 자식의 전화 벨소리를 기다리는 부모님 마음을 그린 시보 광고로서, 매일매일 효도하라는 메시지를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전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이번 광고에서 소개하고 있는 ‘효(孝)’요금제는 지난 5월 확대 개편한 것으로서 기존 부모가 자녀에게 거는 통화료만 할인했던 것에서 자녀가 부모에게 거는 통화에도 모두 할인율을 적용하여 부모 자녀간 통화 시 통화료를 30% 할인해주어 부모는 자녀의 전화를 최대 5대까지 지정할 수 있다.
 

이 요금제에 관해 KT 관계자는 “가족들의 정을 돈독하게 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재정비된 효 요금제는 가입 기준도 만 65세 이상에서 만 60세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가입비 등 별도 이용료는 없고 가입할 때도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호적등본 등)를 KT 지사나 고객센터(국번없이 100번)에 제출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이번 광고를 기획한 광고회사 웰콤 광고 1팀의 정의선 부장은 “생각만 하고 놓치기 쉬운 그리운 마음을 저녁 시간 시보 광고에 강아지 울음소리로 담고자 하였다”고 말하고, “광고를 보면서 누구나 안부전화를 하도록 하는 것이 기획 의도였다”고 밝혔다.
 

지난 5월에 촬영된 이번 광고 촬영에서는 원래 2마리의 백구가 섭외되었는데 ‘병철’이라고 불리는 3살 난 백구의 애타는 울음소리가 현장에 있던 감독과 스텝들의 애간장을 태워 전격 발탁되었다는 웃지 못할(?) 캐스팅에 관한 에피소드도 전해진다.
 

효요금제 ·  진돗개 ·  강아지 ·   ·  동물 ·  부모 ·  가족 ·  광고 ·  시보광고 ·  백구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Best Creative] 쇼핑이 락 페스티벌이 된다!
  쇼핑이 락 페스티벌이 된다! ‘G마켓: G락페 천년동안 금지된 광고’편 취재·글 장 웅 | 사진·팡고TV촬영 유희래 광고회사 차이커뮤니케이션 기획 이연호 상무, 백지현 팀장, 노유정 과장, 오유라 사원 제작 박종훈 CD, 정규태 AD, 손수진 AD, 안시윤 CW 제작사 히어로 크리에이티브, 얼리하이 광고주 G마켓 이커머스 G마켓의
[Meet the Creator] 세상에 없던 크리에이티브, 모험 즐기는 여정에서 나와
 세상에 없던 크리에이티브, 모험 즐기는 여정에서 나와 남현우 TBWA 코리아 ECD 취재·글 송한돈 | 사진?팡고TV촬영 유희래 광고계에서 25년, 함께한 브랜드만 40여 개, 제작한 콘텐츠는 300편이 넘는다. 2018년 이후 매해 크고 작은 상을 수상하며, 감각과 정교함을 겸비한 크리에이티브로 광고계에 묵직한 발자국을 남기고 있는 TBWA 코리아의 남현우 ECD(Executive Cre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뉴스레터] ADinfo 제 135호
애드인포 제 135호 - 7월 광고업계 소식 및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