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을 내며 v
초판 서문 vii
제1장 이벤트 시대의 개막 1
시장 변화의 새로운 물결 3
실체를 요구하는 시대 3
정보·시간·문화+이벤트 4
기업의 성패도 이벤트가 좌우한다 5
이벤트??사회통합의 새로운 수단 5
제2장 이벤트란 무엇인가? 7
이벤트의 정의 9
이벤트의 출현 배경 10
주최에 의한 5분류 11
이벤트의 6형식 13
특징과 혜택 14
기능과 역할 15
국가의 성패도 이벤트가 좌우한다 16
제3장 왜, 일본이 우리를 앞서고 있는가 19
일본의 기업문화 21
이벤트의 천국, 일본 22
이벤트 부국론 24
무수한 박람회와 행정주도형 이벤트 24
지역을 변화시키는 이벤트의 효과 26
일본기업의 이벤트 전략 27
오사카만국박람회와 도쿄 디즈니랜드 29
경제대국이 된 일본의 비밀은? 32
제4장 우리는 일본을 이길 수 없는가? 33
얼마나 뒤떨어졌는가? 35
우리나라 기업의 문제점 36
우리의 소중한 자원들 37
기업문화와 이벤트 혁명 38
제5장 신문명 시대의 주역, 대한민국 41
동북공정과 글로벌리제이션 43
분쟁과 이념을 넘어 43
한국인의 세 가지 장점 44
일어서라, 대한민국이여! 45
제6장 이벤트 이론과 IMC 전략 47
이벤트는 마케팅인가, 커뮤니케이션인가? 49
마케팅 믹스와 이벤트 49
판촉과 프로모션 50
판촉이란 무엇인가? 51
판촉과 스페셜 이벤트 53
이벤트 사회학 55
PR, 판촉 그리고 설득 커뮤니케이션 57
IMC 최적의 수단??이벤트 효과 58
제7장 기업 PR이벤트와 판촉 전략 61
기업 이벤트의 현황 63
기업 이벤트란 무엇인가? 64
기업 이벤트의 두 가지 유형 65
이벤트와 판촉 전략 68
판매촉진의 유형과 수단 69
이벤트 시행의 5단계 전략 70
성공적인 기업 이벤트 74
대상과 도구의 선택 74
장의 연출과 시간의 경영 76
제8장 생활문화의 터전 백화점 이벤트 79
백화점 이벤트의 본질과 특징 81
백화점 이벤트의 현황과 문제점 84
백화점 이벤트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언 86
제9장 지방자치 시대의 축제와 이벤트 91
지역축제 시대가 열리고 있다! 93
지역발전과 지역 이벤트 전략 94
6대 성공요소 95
일본의 지역 이벤트 사례연구 98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99
지역축제, 컨벤션과 국제박람회 100
제10장 이벤트와 문화발전 103
지금은, 문화콘텐츠 시대! 105
사람, 사람, 사람들 105
기업문화란 무엇인가? 106
상품의 수출은 문화의 수출로부터 108
이벤트와 문화발전 109
문화발전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 110
제11장 한국의 이벤트, 그 과제와 전망 121
한국에도 이벤트 시대는 오는가? 123
한국 이벤트의 출현 과정 124
한국의 이벤트 산업, 어디까지 왔나? 125
이벤트 산업의 전망 129
이제, 본격적인 이벤트 시대가 열린다 130
제12장 에필로그 131
땅, 사람 그리고 문화 133
문화를 수출해야 승리할 수 있다 135
부록 1 이벤트 기획서 작성법 137
이벤트 기획서는 어떻게 쓰나? 139
이벤트 기본기획서는 어떻게 쓰나? 139
이벤트 실행계획서는 어떻게 쓰나? 144
아이디어는 어떻게 만드나? 145
부록 2 이벤트 기획서 사례집 151
사례연구 I. 롯데캐논 사무기기 전시회 153
사례연구 II. 서울올림픽 개·폐회식 164
사례연구 III. 홍성의 내포문화축제 전국화 전략은 이렇게 실행되었다 167
부록 3 지금 바로 따라할 수 있는 이벤트 아이디어 사례 193
직장야유회 아이디어 20가지 195
송년파티 아이디어 7가지 197
백화점 이벤트 아이디어 105가지 198
오픈행사 아이디어 100가지 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