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를 통한 방송광고의 이해
’방송광고 장르론’ 은 지금까지 문학, 음악, 미술, 영화 등의 문화예술 콘텐츠에 비해 논의가 빈약했던 광고 분야에서, 방송광고 장르 이론을 정립과 기초 자료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들은 콘텐츠로서 방송광고 장르에 따른 체계적인 창작 기법과 크리에이티브에 필요한 전략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저자들은 각각 실증적인 사례와 생각해볼 문제를 통해 방송광고 장르에 대한 사고를 확장하고 있으며 장르를 통한 광고 콘텐츠에 대한 폭 넓은 이해로 광고 제작 실무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은 광고를 담은 매체인 방송에서 장르 연구의 외연을 찾았으며, 그 콘텐츠를 광고 부분까지 넓혔다. 방송광고의 맥락에서 장르에 대한 진지하고도 본격적인 탐색과 논의를 통해, 미디어 텍스트의 생산자와 수용자를 소통시키는 하나의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광고가 대중문화 예술의 하나로 자리 잡아 가기 위해 대중과 호흡할 수 있는 광고 창작 실무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
지은이 : 강두필 외 14명
강 두 필
현재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교수로 있으며 광고와 광고영상 제작 등의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연세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였고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영상커뮤니케이션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광고대행사 코래드, 광고프로덕션 한국비전, 동진 프로덕션에서 CF 프로듀서와 CF감독으로 10여 년간의 현장경험을 갖고 있다.
구 승 회
LG애드에서 카피라이터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일했다. 오렌지박스란 대행사를 차려 잘나가던 차에 광고주처럼 행세하다 쫄딱 망하고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모교인 성균관대학교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으로 언론학 박사(광고홍보 전공)를 받았다.
김 병 희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를 거쳐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박사를 받았다. 대학으로 옮기기 전, 광고회사 선연에서 카피라이터 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일했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광고학과 방문연구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국광고학회 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한국언론학회, 미국광고학회 회원이다.
김 선 남
현재 원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있다. 경희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뉴저지 주립대(몽클레어) 방송학과 방문교수를 지낸바 있다. 주요(공)저서로는 "매스미디어와 여성", "섹스·젠더·미디어", "페미니즘과 텔레비전", "성문제와 성문제", (공)역서로는, "커뮤니케이션학이란 무엇인가", "텔레비전과 여성문화"등이 있다.
김 철 호
청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광고홍보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방기획, LG패션 등에서 광고 실무를 담당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에서 광고 전공, 마케팅 부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안 주 아
현재 동신대학교 언론광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희대 문학사, 경희대 언론학 석·박사를 취득하였으며, 경희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임연구원과 BK21 박사 후 과정 및 경희대, 백제예술대, 원광대, 강원대, 전남대 강사를 지냈다.
오 창 우
지금 계명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로 있다. 독일 BOCHUM 대학에서 “독일어권 신문에서의 한국 표현구조에 관한 연구 -국제 PR 과정에서의 뉴스선택소(素)에 관한 체계이론적 접근”이란 주제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광고 산업의 이해", "언론체계와 PR체계" 등의 저서가 있다.
윤 태 일
현재 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광고홍보전공 교수로 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를 졸업한 후, 광고대행사 한컴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했고 SK텔레콤 홍보실에서 광고홍보 관리업무를 담당했다. 그 후 미국 테네시 대학교와 미주리 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를 받고 돌아와, 2003년부터 한림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공부하고 있다.
이 재 록
경북대학교 경영학과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홍익대학교에서 경영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산학연구원에서 주임연구원과 연구위원을 (사)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에서 과장을 역임하였으며, (주)에피모에서 관리이사를 지냈고, 2001년부터 청주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 현 우
대홍기획, 제일기획 등에서 카피라이터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일했다. 연세대학교에서 광고홍보학 석사, 한양대학교에서 광고학 박사를 받았으며, 지금 동의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있다. "광고, 묘약인가 마약인가?", "광고발상과 전략의 텍스트", "방송광고와 광고비평", "광고홍보 실무특강"등의 책을 썼다.
이 화 자
지금 호남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있다.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와 동대학 언론홍보대학원 석사를 졸업하였으며,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광고인의 창의적 행동 및 직무성과 영향요인 연구”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홍기획, 제일기획 등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하기도 했다. 저서로 "광고표현론", "광고, WHAT & HOW", "광고 그리고 창의성", "라이프스타일을 바꾼 광고그라피", "KTF, 즐거움을 파는 회사" 등이 있다.
이 희 복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광고홍보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광고PR 전공)를 취득하였다. 광고회사 MBC애드컴과 오리콤, FCB코리아, 경주대학교 방송언론광고학부 교수를 거쳐 지금은 상지대학교 언론광고학부 교수로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창의와 설득”을 키워드로 광고활용교육(AIE)에 관심이 많다.
전 영 우
현재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있다. 미국 서던미시시피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MISSISSIPPI)에서 국제광고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제광고에 있어서 비교연구를 다수 진행했으며, "현대광고학", "광고 상품 쇼핑의 노예들" 등의 책을 집필했다.
조 창 연
서원대 광고홍보학과 교수로 있다.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FU BERLIN)에서 “기호의미 생성을 통해본 광고에서의 제품의미 생성에 대한 인지기호학적 연구”로 박사학위 수여받았으며 고려대, 중앙대, 숙대 등지에서 강의를 했다. "광고커뮤니케이션-광고 이미지 전략", "영화 인지 기호학" 등의 역서가 있다.
차 유 철
한양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연세대학교에서 광고홍보, 경희대학교에서 광고PR로 각각 문학사, 문학석사, 언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오리콤, MBC애드컴, 금강기획에서 카피라이터,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캠페인 디렉터로 활동하는 한편,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 한세대학교, 중앙대학교 등에서 강의하였다. 현재는 우석대학교 광고이벤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
저자 |
이현우 외
|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
출판일 |
2007.11.26.
|
페이지 |
343 페이지
|
ISBN |
9788984999145
|
|
|
Part 1 방송광고 장르론의 모색
1 방송광고 장르의 정립을 위하여 전영우
1. 대중문화, 미디어 그리고 장르
2. 왜 방송광고 장르론인가?
3. 어떤 장르론인가?
4. 방송광고 장르 정립의 효과와 의미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2 문화콘텐츠로서의 방송광고 조창연
1. 디지털 시대의 방송광고 콘텐츠
2. 텍스트로서의 방송광고
3. 텍스트에서 콘텐츠로의 방송광고
4. 맺음말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3 예술 텍스트로서의 방송광고 윤태일
1. 광고와 예술
2. 광고와 문학
3. 광고와 드라마(연극, 영화, 방송극)
4. 광고와 음악
5. 광고와 미술
6. 광고와 춤
7. 맺음말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4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방송광고 이재록
1.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등장배경
2.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주요 논점
3.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국내외 동향
4. 통합마케팅커뮤니케이션의 국내외 성공사례
5. 맺음말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5 페미니즘 시각에서의 방송광고 김선남
1. 방송광고와 여성문화
2. 방송광고 비평과 페미니즘
3. 맺음말: 평등한 방송광고문화를 위하여
?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6 방송광고 장르 연구의 특성과 접근방법 김철호
1. 방송광고 장르 연구의 특성
2. 방송광고 장르 연구 이해를 위한 시각/접근법
3. 맺음말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Part 2 전달 형식에 의한 방송광고 장르
7 실증형 방송광고 차유철
1. 실증형 광고란 무엇인가?
2. 실증형 광고의 역사
3. 용어, 개념 및 정의
4. 실증형 광고 vs. 증언식 광고 vs 설명형 광고 vs 리얼리티 광고
5. 실증형 광고의 범위
6. 실증형 광고 사례
7. 맺음말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8 증언형 방송광고 이화자
1. 증언식 소구의 개념 및 장점
2. 유명인 모델을 활용한 증언식 광고
3. 전문가모델을 활용한 증언식 광고
4. 일반인을 활용한 증언식 광고
5. 증언식 광고와 구전커뮤니케이션효과
6. 맺음말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9 자막형 방송광고 이현우
1. 영상광고와 문자언어
2. 영상콘텐츠에 있어 자막의 유형과 기능
3. 자막형 방송광고의 유형과 표현전략 분석
4. 맺음말: 메시지는 명료하게, 아트는 깔끔하게!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10 일상의 단면형 방송광고 안주아
1. 광고 문화로서 일상의 단면
2. 크리에이티브 전술로서 일상의 단면
3. 일상의 단면형 광고의 사례
4. 일상의 단면형 광고의 효과와 함의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11 노래형 방송광고 김병희
1. 노래형 방송광고의 개념
2. 노래형 방송광고의 시대별 흐름
3. 광고에서 배경음악의 효과
4. 노래형 광고의 내일을 위하여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Part 3 전달 내용에 의한 방송광고 장르
12 방송광고에서의 유머 강두필
1. 유머의 개념 및 유형
2. 유머광고의 개념 및 분류
3. 유머광고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4. 유머광고의 실제 사례들
5. 맺음말 : 유머광고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은 수용자입장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13 방송광고에서의 성적 소구 구승회
1. 광고의 상징성과 성적소구
2. TV광고의 성적소구 현황
3. 성적소구 광고의 내용 및 유형
4. 크리에이티브 전략으로서의 성적소구
5. 맺음말 : 더 유혹하고 더 매혹적이어라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14 방송광고에서의 패러디 이희복
1. 광고와 패러디
2. 패러디광고란 무엇인가?
3. 방송에 나타난 패러디광고
4. 패러디광고의 효과와 비판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15 방송광고에서의 휴머니즘 오창우
1. 휴머니즘의 역사적 전개
2. 광고와 광고체계
3. 광고와 휴머니즘
4. 하이테크, 디지털, 그리고 휴머니즘
5. 광고의 확장인가 아니면 광고의 상실인가?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