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빙그레라 그래! 바나나맛우유 무가당의 데뷔무대 (feat.이영지)
CHEIL WORLDWIDE 기사입력 2025.05.12 05:20 조회 249

 역시 빙그레라 그래! 바나나맛우유 무가당의 데뷔무대 



제일기획 김혜림 프로 (제작 1본부)

올해로 출시 51년을 맞은 빙그레 바나나맛우유는 단지 우유를 넘어 하나의 아이콘이 되었습니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팬덤은 물론, 해외 진출에도 성공한 글로벌 스타니까요. 영화나 드라마에 출연해 몽글몽글한 장면을 완성하는 역할까지 소화하고 있으니 인기가 식을 줄 모르지요.

이렇게 꾸준히 문화가 되어 온 바나나맛우유가 완전히 달라진 모습으로 데뷔를 준비했습니다. 빙그레의 뉴페이스, ‘바나나맛우유 무가당’의 프로듀싱은 아이돌 데뷔 무대보다 더 치열하게 진행됐습니다.

아는맛 그대로, 설탕은 빼기로

콜라를 건강하게 먹는 사람의 줄임말인 ‘콜건적’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저당 음료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했기에, 설탕을 뺀 바나나맛우유의 등장은 시대가 환영할 일이었습니다.

하지만 가공유 카테고리에서의 무가당 음료는 시장에서 생소할 수 있기에, ’설탕은 뺐지만 맛있는 건 그대로’라는 제품의 핵심을 잘 전달하는 것이 데뷔 무대의 미션이 됐습니다.

브랜드에서 찾은 두 음절의 감탄사

‘빙그레’라는 브랜드명에서 ‘그래’라는 말을 찾는 것은 그리 놀라운 발견은 아니었습니다.

흔히 대답으로 쓰이는 두 음절의 언어가 긍정과 의문, 호기심과 놀라움, 맥락과 정도에 따라 무수히 많은 뉘앙스를 풍기며 리듬을 만들어낸다면, 감각적인 몰입감을 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즐거운 발견이었죠.



제품의 핵심 메시지를 부담 없이 전달하기 위해 이 감탄사는 지니고 있던 모든 역량을 발휘합니다.

어떻게 그래? 어떻게 또 맛있고 그래~ 무가당인데 그래? 바나나맛우유 풍미 그대로라 그래~
요즘 운동하고 그래? 밤에 먹어도 부담없고 그래~ 뭐든 잘 어울리고 그래~ 그래? 역시 빙그레라 그래~

이영지와 파이팅 해야지

MZ세대 타깃을 고려하기도 했지만 리듬감 있는 카피를 감각적으로 전달해 줄 모델로 이영지는 대체 불가였습니다. 부담 없이 즐길 수 있게 된 바나나맛우유 무가당의 매력을 다양한 TPO에 담고 싶었던 제작진의 마음은 영지가 등장하는 순간 해결됐죠.


스피닝과 먹방, 라방 등 타깃의 일상 공간에서 제품을 즐기는 모습을 이영지는 여유로운 표정과 감각적인 위트로 소화해냈습니다. 대표 MZ세대답게 당당한 에너지로 파이팅 해 준 모델 덕분에 눈과 귀가 즐거운 바나나맛우유 무가당의 데뷔 무대가 완성됐습니다.




언제나 그래왔던것처럼, 빙그레 바나나맛우유

50년을 지나온 만큼 바나나맛우유에 대한 추억과 이미지는 세대마다 다를 것입니다. 그럼에도 제품의 외모와 성향처럼 마음에 떠올리면 어딘가 푸근해지는 것은 공통분모인 것 같습니다. 어릴 적 좋아했던 바나나맛우유를 모두가 더 건강하게 오래오래 즐길 수 있도록 편의점 간판스타로 활약할 무가당 바나나맛우유의 행보를 응원하겠습니다.

제일기획 김혜림 프로 (제작 1본부)
가공 ·  광고 ·  무가당 ·  바나나맛우유 ·  무가당 ·  브랜드 ·  빙그레 ·  이영지 ·  제일기획 ·  캠페인 · 
이 기사에 대한 의견 ( 총 0개 )
[COPYRIGHT REPORT] 광고 속에 등장하는 유명 브랜드 제품은 상표권 침해?
세제광고에는 세탁기가, 타이어 광고에는 자동차가 나오게 마련이지만 광고 속에 노출되는 타 브랜드 제품은 상표권 분쟁을 일으키기도 한다. 상표권자의 엄격한 브랜드 관리로 더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는 광고 속 다른 브랜드 등장에 관한 법률 문제를 짚어본다.
[월간 2025밈] 07월 편 - 옛날에 직장인이 있었은... 딱히 뭘 하진 않았슨... 단지 퇴근을 원했슨...
  • 안녕하세요~ 대표입니다. 이 글을 보는 모든 분들 퇴근하세요^^   • 현실반영 100%! 직장인 햄스터? • AI ASMR? • 궁전 가죠 그냥?  • 밈집이 있었은... 딱히 뭘 하진 않았슨...   • Z세대는 지금... 라부부 붐  • 대학생 공모전이 해외 광고제 수상까지! 제38회 YCC 개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1
글 김수영 프로 | 제일기획 미디어퍼포먼스 1팀 2024년은 제자리 걸음이었던 광고 시장이 한 발자국을 내디디며 앞으로 나아가는 해였다.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에 따르면 2023년 0.1% 증가로 사실상 답보 상태를 보였던 국내 광고 시장 총 광고비 매출액은 2024년 전년 대비 2.8% 성장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내·외부 경제 불확실성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방송 광고비는 -10.8% 감소로 부진했지만
2024년 광고 시장 결산 및 2025년 전망_2
 AI와 디지털이 주도하는 광고 시장 AI의 진화와 함께 KOBACO 집계기준 약 8% 성장한 디지털 광고 시장은 60%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며 전체 광고 시장의 대표 주자임을 확실히 각인시킨 해였다(그림 1). 경기 침체 속에서 AI 기술의 도입으로 타겟팅 및 효율성이 우수해진 디지털 미디어로 광고 수요가 전환되는 추세가 더욱 가속화되며 디지털 광고 시장이 전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검색 광고 시장은 AI 기술
[월간 2023밈] 08월 편 - 그런날 있잖아 폭룡적 더위에 미칠 것 같은 날...
HS애드 광고 완전 폭룡적이다 MZ사진 그런날 있잖아... YCC에 참가하고 싶은 그런날... 기특해 죽겠어 복복복 유병재에게 질문을